● feral, rewilding, 活生
‘활생活生’은 영어의 ‘feral’, ‘rewilding’을 번역한 단어로 ‘rewilding’을 직역하면 ‘재야생화再野生化’로 옮기는 것이 일반적이겠지만, 마치 어떤 특정 상태로 정확히 복귀하는 것을 의미하는 경향이 있다. 옮긴이 김산하 박사는 야생의 자연은 언제나 역동적으로 변화하고 있기에 특정 상태를 목표로 한다는 것 자체는 비현실적이고 자연의 과정에 반反하는 개념이라고 판단했다. 이에 ‘재야생화’보다는 저자가 ‘feral’이나 ‘rewildling’을 사용할 때의 의도처럼 과거의 어떤 특정 시기나 특정 생태계로의 복귀가 아니라, 자연이 알아서 제 갈 길을 갈 수 있도록 허락하고 도와주고 지켜본다는 의미에 가까운 번역어를 고심했다. 이에 따라 어딘가로 되돌아가는 의미의 ‘재야생화’가 아니라 생명체들의 삶이 추동하는 집합적 의사결정이 도달하는 새로운 야생 상태를 지칭하는 의미에서 ‘활생’이라는 단어가 태어나게 되었다.
● 21세기, 대멸종과 생물다양성의 소실을 어떻게 막을 것인가
활생은 간단하게 말하면 야생 동식물의 보전과 복원이다. 극소수만 남은 종을 보호하고, 한때 있었지만 지금은 사라진 종을 되돌려놓는 작업은 자연을 있는 그대로 두는 것만큼이나 중요하다. 왜냐하면 우리가 목격하고 있는 오늘날의 대멸종과 생물다양성의 소실은 결코 자연적인 현상이 아니며, 그 속도가 너무 급격해서 생태계가 이에 충분히 대응 및 적응할 수 없기 때문이다. 파괴와 교란의 행위를 멈추어 자연에게 최소한의 운신의 폭을 제공하는 노력과 함께, 하루아침에 와르르 무너지고 있는 공든 탑의 조각들을 최대한 모으고 보존하는 노력도 병행되어야 한다. 그리고 지역적으로 사라진 종은 최대한 복원해야 한다.
그중에는 소위 무서운 동물도 포함된다. 다른 동물을 잡아먹는 포식자, 특히 먹이 피라미드의 꼭대기에 위치한 최상위 포식자의 중요성이 최근 주목받고 있다. 그들이 먹이 동물을 사냥하고 잡아먹음으로써 생태계의 위에서부터 아래로 퍼지는 탑다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