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사 『한국영화 100년 100경』 발간에 부쳐 004
인사말 한국영화의 미래 100년은 지금부터 005
서문 006
연표 한국영화 100년, 영화사 안팎의 주요 사건 014
1901―1949년
한국, 영화와 만나다
1901년 활동사진의 도래: 버턴 홈스의 한국 방문과 영화 촬영 / 정종화 ? 018
1903년 공식적인 첫 대중 상영의 기록: 한성전기회사의 동대문활동사진소 운영 / 정종화 ? 020
1907년 한국인이 경영한 최초의 상설영화관: 복합 연희장으로 출발한 단성사 / 정종화 ? 022
1912년 무성영화의 해설자 변사: 발성영화 등장 전까지 당대 조선 최고의 스타 / 한상언 ? 024
1919년 한국영화의 출발: 연쇄극 <의리적 구토>와 실사 필름 <경성 전시의 경> / 정종화 ? 026
1919년 최초의 영화 잡지 《녹성》 창간: 당대의 해외영화와 찰리 채플린 등 영화인 소개 / 김종원 ? 028
1923년 최초의 극영화와 최초의 여배우 탄생: 윤백남 감독의 <월하의 맹서>와 여배우 이월화 / 정종화 ? 030
1924년 한국의 영화 기술 개척자, 이필우: 단성사 촬영부를 거치며 조선영화 제작 / 정종화 ? 032
1926년 무성영화 최고의 스타 나운규 그리고 <아리랑>: 서구영화의 요소와 민족의식을 결합… 전국 각지에 영향 / 정종화 ? 034
1927년 카프 영화운동의 부상과 몰락: 단체 결성과 영화·간행물 제작 활동 / 한상언 ? 038
1935년 최초의 발성영화 <춘향전>: 조선 사람들의 말소리가 스크린에 울려 퍼지다 / 정종화 ? 040
1937년 ‘조영’과 ‘고영’, 양대 회사의 출현: 영화제작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기업화 추구 / 정종화 ? 042
1930년대 조선영화 여배우 트로이카, 문예봉·김신재·김소영: 배우이자 여성으로서 당대 조선 여성의 삶을 표현하다 / 이화진 ? 044
1930년대 ‘트릭 촬영의 일인자’ 이창근 감독: 독자 개발한 기재로 특수촬영을 시도 / 공
한국사의 주요 국면과 함께한 영화사, 희귀 사진과 자료로 만나다
『한국영화 100년 100경』은 기관·단체·언론사·영화인·수집가 등이 적극적으로 협력해 담아낸 350여 컷의 이미지가 차별성과 가치를 더욱 분명히 한다. 특히 김진규(92~93쪽, 신성일(94~95쪽, 김희갑(114~115쪽 등 영화인의 단독 프로필 사진은 지금까지 공개된 적 없는 희귀한 이미지다. 그동안 이 같은 이미지는 그 가치를 인정받지 못해서 오래된 발간물이나 아카이브 속에 보관된 채로 연구자만 관심을 가지고 접근해 왔는데, 이 책에서 주요 이미지로 다루면서 새로이 빛을 발한다. 또 『한국영화 100년 100경』에 수록한 많은 영화 현장 관련 사진은 영화사의 한 국면을 구체적으로 보여주고 있어, 영화 연구의 새로운 단초가 되고 영화인을 제대로 된 역사적 기록으로 남긴다. 나운규의 <아리랑> 현장 사진(34~35쪽이나 임화와 추민의 모습을 담은 <혼가> 광고지(38~39쪽, 윤용규의 <마음의 고향> 제작진과 배우 사진(52~53쪽 등이 대표적이다. 제대로 자리 잡지 못한 한국영화사의 많은 지점이 이 책으로 흥미롭게 제시되어 생기를 얻고 있다. 아울러 한국영화는 한국사의 주요한 사건과 명암을 함께했는데, 이는 언론사 보도 사진으로 남아 한국영화사의 핵심 자료이자 한국사의 사료로서도 역할을 하고 있다. <애마부인>의 심야 상영 표지판 사진(168~169쪽은 야간 통금 해제 이후 억압된 의식이 분출되는 한국현대사의 일면을 담고 있으며, <서편제> 상영관 앞에 모인 관객을 담은 사진(198~199쪽은 문화적 성장이 대중의 관심과 만나 폭발적인 힘을 발휘하는 모습을 보여 준다. 또한 UIP 직배 영화 반대 투쟁(184~185쪽, 스크린쿼터 축소 반대 투쟁(216~217쪽 등의 현장부터 최근의 영화인 블랙리스트 청산을 촉구하는 영화인들을 기록한 이미지(246~247쪽 역시 격동하는 한국사와 맞물리는 주요한 장면을 기록하고 있다.
관객과 ‘공유한’ 순간을 담아낸 『한국영화 100년 100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