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자의 말·5
일러두기·11
『기신론직해』의 판각에 즈음하여(刻起信論直解題辭·15
대승기신론직해 권상大乘起信論直解卷上
『대승기신론직해』 해제·19
귀경송歸敬頌·24
제1장 인연분因緣分·36
제2장 입의분立義分·50
제3장 해석분解釋分·59
1. 현시정의顯示正義·60
1 심진여문心眞如門·69
2 심생멸문心生滅門 (染淨生滅·84
① 심생멸·84
② 생멸인연生滅因緣·145
③ 생멸의 모양(生滅相·186
대승기신론직해 권하大乘起信論直解卷下
3 염정상자染淨相資·195
4 삼대三大 중의 체대體大와 상대相大·230
5 삼대三大 중의 용대用大·240
2. 대치사집對治邪執·268
3. 분별발취도상分別發趣道相·283
제4장 수행신심분修行信心分·324
제5장 권수이익분勸修利益分·382
회향송廻向頌·389
부록/ 화엄종법계연기강요華嚴宗法界緣起綱要·391
『대승기신론』의 대표적 주석서로는 혜원의 『기신론의소』?원효의 『기신론소』(海東疏?법장의 『기신론의기』 등이 있다.
원효의 『기신론 소?별기』는 여러 대?소승 경전을 망라하고 『섭대승론』?유식학?인명론 등을 동원하여 상세하게 풀이하고 있기 때문에 어려운 용어가 많아서 초심자가 공부하기에는 버거운 면이 없지 않다. 문체가 호방하고 논증의 사례를 든 경론이 방대하여 내용이 장황하므로, 충분한 사전 공부가 없다면 논서의 큰 줄거리를 잡는 것이 쉽지 않다.
한편 법장은 『의기』를 저술할 때 원효의 『기신론소』를 참고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의기』 역시 매우 장황하다. 이에 감산은 해제에서 “후학들을 위하여 법장의 저술을 알기 쉽게 간추려서 본 직해直解를 지었다”고 하였다. 하지만 『직해』에는 『의기』의 교판 내용과 경론 인용 부분을 축소하고 감산 자신의 해석과 천태사상, 현장의 유식과 선종의 어록까지 추가하여, 결과적으로 이 『직해』는 대승을 배우는 교과서로 사용하기에 손색이 없다.
이 역주서는 가능한 한 원문에 충실한 번역을 하고, 『기신론』과 『직해』의 원문과 한글 번역문을 함께 배치하는 등 전통적 방식을 따라 편집하였다.
또한 역자는 감산의 견해 위에,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직해』에서 인용하고 있는 경론을 각주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는데, 각종 경론을 비롯한 관련 자료들은 물론이고 특히 감산의 뜻에 근접하고자 감산의 다른 글들을 참고하여 주석으로 사용하였다. 아울러 원효의 『소?별기』에 인용된 경론을 찾아서 주석으로 활용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원효의 다양한 저술들을 인용하여 이해에 도움을 주고 있다.
교학적인 측면에서 『기신론』과 『직해』를 잘 이해하려면 유식을 어느 정도 아는 것이 도움이 된다. 감산은 『팔식규구통설』에서 “유식을 밝히지 않으면 교敎의 대강大綱을 통하지 못하게 되니, 이것을 잘 모르면 불법의 정수인 자기 마음이 일어나고 없어짐(心起滅頭數에 대하여 알지 못하게 된다.”라고 하였다.
이에 역자는 주에서 미륵보살, 무착, 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