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에 쏟아진 찬사 5
서문-존 해티 12
들어가는 말 16
이 책의 구성 18
▣ 학습과학 77
01 어떻게 해야 오래 기억할 수 있을까? 23
02 포부와 기대는 높을수록 좋을까? 27
03 계획과 실행이 따로 노는 이유 31
04 복습은 언제, 얼마나 해야 하는 걸까? 35
05 성장관점이 미치는 영향 39
06 계획한 대로 되지 않는 이유 43
07 고정관점과 성장관점의 차이 47
08 십대, 사회적 거부에 대한 두려움 51
09 기대가 높으면 더 잘할까? 55
10 IQ가 높으면 성공할까? 59
11 부모가 어떻게 해야 도움이 될까? 63
12 회복탄력성, 다시 일어서는 힘 67
13 마시멜로 실험과 자제력 있는 아이 71
14 목적의식은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75
15 효과적인 학습을 위한 2가지 방법 79
16 자녀의 실패를 대하는 부모의 태도 83
17 음악을 들으며 공부해도 괜찮을까? 87
18 사람들은 왜 자기 실력을 과신할까? 91
19 과정을 칭찬해야 하는 이유 95
20 노력은 전염된다 99
21 교사에 대한 평가는 객관적일까? 103
22 재능 vs. 노력, 어느 쪽을 존중할까? 107
23 시험을 위한 공부 vs. 공부를 위한 시험 111
24 생각의 초점을 어디에 맞춰야 할까? 115
25 피드백에도 방법이 있다 119
26 학생들의 학습동기를 자극하는 4가지 방법 123
27 과거의 나와 현재의 나는 얼마나 다를까? 127
28 “왜?”라고 묻는 것의 중요성 131
29 잠의 힘 135
30 휴대전화, 멀리 둘수록 좋다 139
31 마시멜로 실험과 믿을 만한 교사 143
32 가장 효과적인 필기 방법은? 147
33 자기 실력을 의심하는 가면증후군 151
34 소리 내서 읽으면 어디에 좋을까? 155
35 아침식사가 학습에 미치는 영향 159
36 능력별 학급 편성은 누구에게 도움이 될까? 163
37 학습회복력은 어떻게 개발할 수 있을까? 16
세계 유수의 대학에서, 혹은 내로라하는 연구소에서 최고의 교육학자들이 머리를 맞대고 논의하고 실험해서 획기적인 연구결과를 발표한들 그것은 늘 그들만의 지적 경연이자 성취였다. 수많은 선진적 연구결과는 역시 그들만의 배타적 공간인 아카데믹 저널에 실릴 뿐 그 귀한 자료가 좀처럼 학계 바깥의 학교로, 교실로, 가정으로, 배움의 현장으로 가닿지 못했다. 이른바 아카데미아라는 캐슬 내부의 눈부신 성취는 담장 밖의 대중을 배제한 채 철저히 그들만의 리그에서 지적 향연으로 소비되고 학문적 연구결과물로 축적될 뿐이었다. 정작 그 연구결과를 적용해서 배움의 현장을 바꿔야 할 교육주체를 소외시킨 채 말이다. 소외의 담장을 높이는 방식은 간단했다. 일반 독자로서는 쉽게 찾아 읽을 수도, 이해할 수도 없게 전문적이고 난해한 내용과 형식으로 접근성을 떨어뜨리는 것이다. 이는 학계의 오랜 관행이었고, 학계라는 캐슬의 배타적 지위를 공고히 하는 장치이기도 했다.
이 책이 놀라운 점은 바로 여기에 있다. 고고한 학계의 담장을 낮추고 아카데미아의 학문적 성취를 실천적 배움의 현장으로 연결한 것이다. 다시 말해서, 학계 밖의 일반 대중으로서는 선뜻 접근하기도, 읽기도 힘들었던 연구논문을, 아니 그 전에 어떤 연구논문이 읽을 가치가 있는지 옥석을 가릴 수도 없는 일반 독자들을 위해 이 책의 저자 브래들리 부시와 에드워드 왓슨은 ‘효과적인 학습에 관한 가장 중요하고 영향력 있는 최고의 연구’만을 엄선해서 누구나 읽으면서 곧장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영국의 심리학자이자 교육전문가인 브래들리 부시와 에드워드 왓슨은 효과적인 학습에 관한 연구가 학계에서 상당한 진전을 이뤄왔음에도 불구하고 교사와 학부모 등 정작 그 내용이 절실히 필요한 사람들에게는 제대로 전달되지 못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이 책을 기획했다. 이 책을 쓰기 위해 저자들은 영국, 미국, 중국, 뉴질랜드, 캐나다, 일본, 오스트레일리아, 독일, 스페인, 프랑스, 네덜란드, 벨기에, 이스라엘 등 세계 곳곳의 대학에서 진행된 수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