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하며_ 넘어져도 끝이 아니다
이 책을 읽기 전에
1장. 행복은 지지 않는 것이다
1장. 행복은 지지 않는 것이다
왜 리질리언스인가? 개인의 노력만으로는 이겨낼 수 없다 역경과 시련을 대하는 성인들의 태도 역경을 명곡으로 승화시킨 베토벤 시련을 삶의 의미로 바꾼 이승복 교수 리질리언스는 누구에게나 있다 사랑받는 사람에서 사랑하는 사람으로
2장. 지지 않는 힘을 기르는 요인 1_ 개인 요인
인지적 자기조절
꽃과 쓰레기, 도덕과 톨스토이 조기교육이 아이의 건강한 발달을 가로막는다 무기력은 아이만의 책임이 아니다 아이들이 겪는 일상의 트라우마 인지적 자기조절은 배우는 힘을 길러준다 교실에서 인지적 자기조절을 높이는 방법
정서적 자기조절
정서 안정이 주의집중력을 키운다 잘 자는 아이가 건강하다 스트레스 해소법과 정서적 자기조절 급식지도와 정서적 자기조절 빛과 소리 그리고 정서적 자기조절 정적정서의 확장 구축 이론과 정서적 자기조절 자기결정이론과 정서적 자기조절 교실에서 정서적 자기조절을 높이는 방법
3장. 지지 않는 힘을 기르는 요인 2_ 가족 요인
아빠는 외롭지 않아야 한다 엄마가 행복해야 한다 사춘기와 부모의 역할 부모의 사회성이 곧 아이의 사회성이다 체벌은 훈육이 아니다 포옹과 스킨십이 중요한 이유 가족의 지지를 높이는 방법
4장. 지지 않는 힘을 기르는 요인 3_ 사회 요인
사회경제적 지위를 넘어서는 리질리언스 부모를 아이들에게 돌려주어야 한다 피그말리온이 주는 두 가지 의미 업무는 교사를 학생으로부터 멀어지게 한다 떠드는 아이 지적하는 교사, 그 악순환의 고리 끊기 학교폭력보다 우정을 가르쳐야 한다 감사와 거울뉴런 욕망이 아니라 희망을 가르쳐야 한다
5장. 행복은 성장이다
사무엘 울만의 ‘청춘’과 행복 학업 탄력성과 성인독서 그리고 삶의 만족 청소년과 노인의 삶이 닮아 있다 자기가치 확인 이론과 삶의 의미 교육의 목적은 아이의 행
왜 리질리언스인가?
리질리언스는 흔히 ‘회복탄력성’, 혹은 ‘탄력성’이라고도 부른다. 그럼에도 이 책에서 많은 사람이 사용하는 회복탄력성이라는 말 대신 리질리언스라는 표현을 쓴 이유가 있다. ‘회복’은 사전적으로 ‘원래의 상태로 돌아옴’을 뜻한다. 그래서 회복탄력성이라는 말에는 ‘회복’만 있고, ‘성장’의 의미를 담지 못하고 있다.
긍정심리에서는 역경이나 시련이 오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고 오히려 성장의 밑거름으로 삼을 수 있는 힘을 리질리언스라고 말한다. 이는 많은 학자가 ‘상실과 역경을 통한 성장(Growth Through Loss and Adversity’, ‘외상 후 성장(Post-Traumatic Growth’, ‘역경 후 성장(Adversarial Growth’이라는 말을 쓴 것과 통한다. 이처럼 역경과 시련으로 쓰러진 상태에서 단지 원래의 상태로 돌아오는 ‘회복’뿐만이 아니라 그를 통한 ‘성장’의 의미를 담고자 ‘회복탄력성’ 대신에 리질리언스라는 말을 썼다.
아이들이 평생 행복하게 살아갈 원동력, 리질리언스
학교에는 역경을 헤쳐 나가는 아이가 많다. 편부·편모 가정 혹은 조손가정의 아이들, 기초생활수급 아동부터 차상위 계층 아이들, 혹은 가정불화로 고통받거나, 방임 방치 혹은 지나친 통제 중심의 부모들 밑에서 자라는 아이들이 있다. 그 모든 아이에게 각자가 겪고 있는 역경이나 시련을 딛고 설 힘을 기를 수 있게 해주어야 한다. 하지만 그 힘은 아이 혼자만의 노력으로 만들 수 없다. 아이 자신은 물론이지만 부모와 교사 그리고 우리 사회가 함께 만들어가야 한다.
아이들이 성인이 될 때까지 학교라는 울타리 안에서 아이 한 명 한 명이 훌륭한 개인으로 설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셀 수 없이 실패하고 좌절해도 다시 일어설 것을 믿고 기다려주는 학교, 마음껏 뛰고 마음껏 소리치며 즐겁게 공부할 수 있는 학교를 만들어주어야 한며, 아이들이 밤늦은 시간에 어디를 가도 안심할 수 있는 사회, 실패해도 다시 일어설 수 있다는 희망을 주는 사회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