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국어판 서문
서문
제1장 전씨 가족의 굿
굿의 배경 / 굿의 시작 / 담장 안에서 행해지는 의례 / 집 밖으로 이동하기 / 에필로그
제2장 유교적 가장과 활기 넘치는 여성
한 지붕 아래 두 개의 전통 / 선비와 무당 / 학자와 무당, 20세기
제3장 영송리
영송리의 역사 / 영송리의 오늘 / 영송리와 무속 / 마을, 만신, 인류학자
제4장 신성한 관계: 만신과 단골
신령과 신당 / 신내림 / 내림굿과 학습 / 굿을 함께 하는 만신들 / 만신 집에 오는 여성들 / 1년 신수 보기 / 단골 / 가정의 전통과 여성의 일
제5장 목신동법, 귀신, 해로운 기운
죽지 말았어야 할 환자 / 만신과 의료 / 우주의 질서 안에서 표류하는 인간: 사주와 개인의 취약성 / 목신동법과 지신동법: 해롭지 않은 방향으로 움직이기 / 바깥에서 온 해로운 기운 / 한국인의 질병 관념
제6장 가정의 신령과 양가 친족의 신령 모시기
떡고사 / 여성의례로서 가정의례 / 여성의 신령, 여성의 전통 / 강력한 신령과 가족 전통 / 무감: 만신의 신복을 입고 춤추기 / 신령한 힘의 확산 / 친척 신령의 출현
제7장 조상 모시기
남성의례 / 조상의 입장에서 보면 / 불안한 망자들 / 굿에 등장하는 조상과 ‘영산’ / 굿에 참여하는 사람들 / 여성, 귀신, 조상
제8장 여성의례
동아시아 사회 비교 연구: 가족과 가정 / 한국 사례의 재검토 / 결론
부록
옮긴이의 글
무속 용어 설명
참고문헌
찾아보기
출판사 서평
한국 무속에 대한 선구적 문화인류학 기술지의 완역본
『무당, 여성, 신령들』은 영어권에서 활동하는 한국학자와 샤머니즘 연구자에게 한국 무속에 대하여 가장 권위 있는 책으로 읽히고 있는 Shamans, Housewives, and Other Restless Spirits: Women in Korean Ritual Life의 완역본으로서, 지은이가 1970년대 말 경기도 북부 지역에서 수년간 생활하며 그곳 여성들과 무당들의 의례 생활을 관찰한 문화인류학 기술지이다. 무속의례를 다룬 많은 연구들이 무속을 전통주의적 시각에 입각해 무속 ...
한국 무속에 대한 선구적 문화인류학 기술지의 완역본
『무당, 여성, 신령들』은 영어권에서 활동하는 한국학자와 샤머니즘 연구자에게 한국 무속에 대하여 가장 권위 있는 책으로 읽히고 있는 Shamans, Housewives, and Other Restless Spirits: Women in Korean Ritual Life의 완역본으로서, 지은이가 1970년대 말 경기도 북부 지역에서 수년간 생활하며 그곳 여성들과 무당들의 의례 생활을 관찰한 문화인류학 기술지이다. 무속의례를 다룬 많은 연구들이 무속을 전통주의적 시각에 입각해 무속 행위 자체를 기록하는 데 집중해 왔지만, 이 책은 무속의례 자체뿐만 아니라 무속의례를 행하는 여성들의 생활과 그 안에 담긴 다양한 세계관을 한국의 가족문화와 연관 지어 살펴본다. 무속 행위를 구성하는 사회적, 문화적 배경과 그 실천자들에게 주목한 이 책은 출간된 지 30여 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새로운 시각으로 기술한 인류학적 무속의례 연구의 전범
정부 주도하에 경제성장을 목적으로 ‘근대화’를 몰아붙이는 가운데 여전히 폭넓게 유교적 사고방식과 전통적 관습이 존재하던 1970년대 한국. 유교의 그늘 아래 가부장적 문화가 지배적이었던 한국에서 평상시 여성들은 조용히 남편의 뒤를 따라 걸어가지만 굿이 열리는 곳에서는 전면에 나선다. 굿을 청하는 사람과 굿을 주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