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그녀를 그녀로 존재하게 하라, 신사임당 / 조혜란
임금 앞에 서고 싶었던 규방의 부인, 송덕봉 / 김경미
서리 맞은 푸룬 연꽃, 허난설헌 / 박무영
여성적 필화 사건의 주인공, 이옥봉 / 박무영
일상의 삶을? 역사로 만든 여인, 안동 장씨 / 조혜란
생애는 석 자 칼, 마음은 내건 등불, 김호연재 / 박무영
조선 시대의 여성 철학자, 임윤지당 / 김경미
제주에서 금강산을 꿈꾼 여인, 김만덕 / 조혜란
시골 색시의 환상과 욕망, 김삼의당 / 박무영
기억으로 자기의 역사를 새긴 보통 여성, 풍양 조씨 / 김경미
남편의 스승이 된 여인, 강정일당 / 조혜란
외씨버선발로 금강산을 밟은 남장 처녀, 김금원 / 김경미
미칠 수 있는 에너지를 지닌 여인, 윤희순 / 조혜란
출판사 서평
조선 시대 여성들은 현모양처와 열녀라는 두 단어로 표현할 수 없는 다양한 욕망과 재능을 가진 사람들이었다. 이 책은 그들을 그들로서 이야기하고자 기획되었다. 역사 기록 속에는 적으나마 조선 시대? 여성에 대한 고정관념을 균열시킬 만한 보석 같은 사람들이 숨어 있다. 사회가 가한 금제와 폭력 속에서 ‘인간’으로서의 자신을 찾기 위해 애쓴 그녀들의 모습은, 현모양처로 덧칠된 신화를 벗겨내고 우리의 그릇된 고정관념을 깨트린다. 시대적 한계에도 불구하고 자신을 주체적 인간으로서 자각하고, 포기하지 않고 열렬히 살았던 여자들, 이 범상치 않은...
조선 시대 여성들은 현모양처와 열녀라는 두 단어로 표현할 수 없는 다양한 욕망과 재능을 가진 사람들이었다. 이 책은 그들을 그들로서 이야기하고자 기획되었다. 역사 기록 속에는 적으나마 조선 시대 여성에 대한 고정관념을 균열시킬 만한 보석 같은 사람들이 숨어 있다. 사회가 가한 금제와 폭력 속에서 ‘인간’으로서의 자신을 찾기 위해 애쓴 그녀들의 모습은, 현모양처로 덧칠된 신화를 벗겨내고 우리의 그릇된 고정관념을 깨트린다. 시대적 한계에도 불구하고 자신을 주체적 인간으로서 자각하고, 포기하지 않고 열렬히 살았던 여자들, 이 범상치 않은 여자들의 아름다운 약전이 바로 이 책이다.
◆ 현모양처, 타자의 시선으로 덧칠된 그 신화를 벗겨내다
근대 이전의 인물들을 떠올려보자.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 제도교육을 받으면서 자라온 사람들에게 학교 다닐 때 배웠던 위인 중 기억에 남는 인물이 누구냐고 물어보자. 머릿속에 떠올려 답변할 수 있는 전시대의 역할모델 가운데 혹시 ‘여성’이 있는가? 다시 물어보자. ‘조선 시대의 여성’ 하면 무엇이 떠오르냐고. 현모양처? 열녀? 장희빈? 신사임당? 신사임당이 누구냐고 또 물어볼까? 아마도 십중팔구는 율곡의 어머니라 대답하리라.
대부분의 사람들은 평생 동안 수많은 위인들의 이야기를 듣지만, 그 가운데 여성의 역할모델로 회자된 이름은 신사임당, 퀴리 부인, 나이팅게일 정도였다. 나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