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과 색을 입은 조선 회화의 향연
I 인간과 현장
춘정의 붓끝으로 옮긴 정인情人
-신윤복, 「미인도」
은밀히 엿보는 조선 풍속
-신윤복, 《혜원전신첩》
간담이 서늘하게 그늘진 눈빛
-윤두서, 「자화상」
참된 사대부의 이중적 자의식
-강세황, 「자화상」
남이 간과하는 것에 주목하는 탁월한 감각
-강세황, 《송도기행첩》
부지런한 백성의 소박한 생활상
-조영석, 「어선도」
문인이 간직한 아취의 표상
-김홍도, 「포의풍류도」
상상의 벗과 함께하는 아회
-이인문, 「십우도」
II 성현과 신선
향긋한 차와 솔향기를 음미할 수 있는 낙원
-전 이경윤, 〈고사탁족도〉
한류 원조, 수묵화의 달인
-김명국, 「달마도」
신비로운 바람에 흔들리는 옷자락과 물결
-윤덕희, 「군선경수도」
몰락한 사대부가 간직한 신선의 꿈
-심사정, 「하마선인도」
칼을 찬 신선의 준엄한 자태
-이인상, 「검선도」
위풍당당한 신선들의 행진
-김홍도, 《군선도》
범부의 소망과 꿈을 재현하다
-이재관, 「오수도」
굴곡진 인생사에서 업을 이은 환쟁이
장승업, 「쌍마인물도」
III 자연과 누정
꿈속에서 거닌 아름다운 이상향
-안견, 「몽유도원도」
시와 그림이 어우러진 정형산수화의 정수
-《소상팔경도》
붓끝으로 먹고 산 광인의 표상
-최북, 「공산무인도」
쉽게 갈 수 없는 성역, 봉황이 날아오르는 형상의 폭포
-김홍도, 「비봉폭포도」
사랑하는 강아지와 만끽한 평화로운 한때
-이암, 「모견도」
갖가지 벌레와 색색의 화목이 어우러진 화사한 정원
-전 사임당 신씨, 《초충도》
사랑스러운 동무를 화폭에 옮기다
-변상벽, 「고양이와 참새」
실경의 재현, 진경의 실현
정선, 「금강전도」
IV 기념과 축복
고동서화과 책이 가득한 공간
-《책거리》
함경도에서의 과거 시험 현장
-한시각, 「북새선은도」
효와 충이 재현된 궁중기록화
-《기사계첩》
꽃의 왕, 부귀영화의 상징
-《궁모란도》
용이 되고자 물속에서
옛 그림에서 우리는 무엇을, 어떻게 봐야 할까?
마음으로 그린 조선 회화를 통해 선비 정신을 이야기하다!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고 은일군자의 삶을 산 공재 윤두서, ‘나’를 그리고 쓴 표암 강세황, “남에게 보이지 마라, 범하는 자는 내 자손이 아니다”라고 당부한 《사제첩》의 장본인 관아재 조영석, 몰락한 사대부의 후손이지만 언제나 신선의 꿈을 간직한 심사정, 술과 더불어 자유분방한 삶을 영위하며 수작을 그려낸 천하 명인 최북과 한류의 원조 김명국…….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송희경 교수가 2년여 동안 유심히 관찰한 조선 회화를 통해 풍류와 멋을 간직한 선인들의 삶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아름다운 우리 그림 산책》을 태학사에서 출간했다. 옛 그림 감상은 시공간을 초월하여 창작자와 만나고, 그들의 손끝에서 탄생한 만물을 만끽할 수 있는 타임머신의 여행이다. 치열하게 한평생을 살다간 옛사람들의 선비 정신을 읽다 보면 ‘오늘날의 나는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에 대한 답을 얻게 될 것이다.
조선 회화, 한 편의 드라마가 되다
향유할 수 있는 문화 콘텐츠가 많지 않았던 조선시대, 그림은 최고의 즐길 거리였다. 옛사람들은 사랑에 빠져 만물이 아름다울 때도, 당쟁에 휩쓸려 삶이 신산할 때도 붓을 잡았다. 지금의 드라마에 현대인의 희로애락이 담겨 있듯, 과거의 화폭에는 선조들의 희로애락이 담겨 있는 것이다.
화폭에 재현된 옛사람들의 삶 가운데 단연 눈에 띄는 것은 ‘사랑’이다.
“그린 사람의 가슴에 춘정이 서려 있어 붓끝으로 실물 따라 참모습을 옮겨낼 수 있었다(盤?胸中萬花春 筆端能與物傳神.”(p. 18
신윤복의 「미인도」에 쓰인 문장이다. 화가의 가슴에 춘정을 서리게 한 그녀 덕분이었을까? 신윤복은 여인의 풍속(女俗에 관심이 많았다. 발이 고운 비단에 노련하고 완숙된 필치로 다양한 여인의 일상을 재현했다. 그중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새침하지만 당당하게 걷고 있는 「전모氈帽를 쓴 여인」이다. 우리 옛 그림에는 한 명의 기녀만을 화폭에 담은 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