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
머리말: 시좌(視座와 시각(視角을 탐색하다
1부_고유 형태의 관료제와 행정
1장 고유 형태의 관료제 이해를 위한 시좌
2장 한국 고대 관료제의 특징
3장 삼국 시대 관료제의 특성과 관료
2부_유교관료제로의 과도적 전환
1장 유교 사상과 관료제의 결합
2장 고려 관제의 준거 모델
3부_유교관료제에 대한 시좌와 시각의 정초(定礎
1장 조선조 관료제는 가산관료제인가?
2장 유교관료제에 대한 시좌와 시각 구성
4부_유교관료제의 사상적 기초
1장 유가 정치사상의 이론적 구조
2장 제왕의 자격과 유교적 정당화의 논리
3장 치자와 피치자의 관계: 민본주의적 지향
5부_조선 초기의 개국 구상과 사상지형
1장 정도전의 개국 구상과 사상적 배경
2장 행정의 원칙과 유자 관료
3장 ‘용비어천가’에 나타난 조선조 개국의 정당화 논리
6부_조선조의 엘리트 구조와 유자 관료의 특성
1장 조선조의 엘리트 구조와 관료의 위상
2장 행도형(行道型 유자관료의 성격
7부_조선조 관료제의 기본 구조와 정책 과정
1장 조선조 관료제의 기본 특징
2장 조선조 관료제의 기본 구조
3장 조선조 정책 과정의 특징
8부_정치사상의 변화와 행도형 유자 관료의 변이
1장 조선 전기 정치사상의 특징과 경세형 유자 관료
2장 조선 후기 정치사상의 특징과 이념형 유자 관료
참고문헌
찾아보기
행정의 성공은 사람에 달려 있을까, 아니면 제도에 달려 있을까? 이 문제는 오래된 것이다. 유교권 국가의 전통에서는 행정을 하는 ‘사람’에게 무게를 두는 경향이 강하다. ‘인치(人治’라는 비판도 있지만, 아직도 사람에 대한 미련은 남아 있다. 사람에게 무게를 두었기 때문에 ‘어떤 사람’이 ‘무엇’으로 관료가 되는지, 그리고 ‘어떤 생각’으로 행정을 하는지는 중요한 정치적 문제였다. 역사적으로 나타난 관료제와 관료는 보편을 넘어 의미 있는 ‘특수’를 내재한 경우가 많다. 그리고 그 특수는 자기 국가와 사회에만 독특한 문제에 대응하고자 하는 창조적 제도와 관련된다. 이러한 연관 구조는 현재의 문제와 관료제의 대응에 많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역사는 귀감(龜鑑’이라는 말처럼 전통적 관료 체제를 연구하는 의미가 여기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