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사업자협동조합의 비즈니스모델 (이예나·이상훈
제2장 노동자협동조합의 비즈니스모델 (김활신·장승권
제3장 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의 제도 변화 (오춘희·김선화·이상윤
제4장 협동조합이사회 (이상윤·윤길순
제5장 소비자생활협동조합의 수직적 통합 (이선희·최우석
제6장 협동조합의 협력적 공급사슬 (박상선·김다솜·이준겸
제7장 소비자생활협동조합의 지식경영 (박윤규·박상선·정찬율·김다솜·이재훈
제8장 협동조합의 출자금과 자기자본 (서진선·최우석
제9장 협동조합의 체계적 위험 추정 (서진선·최우석
제10장 협동조합의 부가가치보고서 (최은주
제11장 소비자생활협동조합에 대한 사회 인식 (신효진·이상훈
제12장 소비자생활협동조합의 브랜드 (임선아·이상훈
제13장 소비자생활협동조합의 윤리적 소비의식 (이승주
제14장 소비자생활협동조합의 인적자원개발 (김아영·장지연·장승권
제15장 소비자생활협동조합의 조직변화 (오보영·장승권
제16장 협동조합의 공유 리더십 (윤찬민·이상윤
이 책은 ‘협동조합경영연구’ 시리즈의 두 번째 권이다. ‘협동조합경영연구’보다 큰 범주라고 할 수 있는 ‘협동조합연구’는 지금까지 한국에서는 주로 농협과 수협 등 생산자협동조합, 그리고 신협과 새마을금고 등 신용협동조합을 중심으로 발전해 왔다.
국제협동조합연맹(International Co-operative Alliance: ICA이 정의한 협동조합은 ‘조합원이 소유하는 기업(enterprise이며 단체(association’이다. 협동조합은 기업 경영 측면과 조합원 공동체 측면이라는 두 가지 성격을 동시에 갖고 있다. 그래서 협동조합학은 여러 학문분과의 연구자들이 모여서 활동하는 다학제 성격을 띠고 있다.
‘한국협동조합학회’가 1982년 설립되어 지금까지 협동조합연구를 해 왔다. 그동안 협동조합연구는 농협과 수협 등 생산자협동조합뿐 아니라. 신협과 새마을금고 등 신용협동조합을 대상으로 경영학 그리고 경제학, 사회학, 정치학, 법학 등에서 다양한 학문 주제를 연구해 왔다.
1990년대 이후에는 한국에서도 소비자생협이 급격히 성장하고 이에 따라서 본격적으로 생협도 연구되기 시작했다. 그리고 2012년 한국에 ‘협동조합기본법’이 제정된 후 2020년 11월 기준 1만 7천 개 정도의 일반협동조합과 2천 4백 개 이상의 사회적협동조합이 설립되었다.
2010년도 3월, 성공회대학교 경영학부에서 일반대학원에 협동조합경영학과를 설립하여 8명의 석사과정 학생으로 시작했다. 이후 2017년에는 특수대학원인 ‘사회적경제대학원’에 ‘협동조합MBA’를 설립했다. 성공회대학교 교육과정은 협동조합과 경영학을 결합하여 교육하고 연구하는 방식으로 운영해 왔다. 특히 협동조합의 기업 측면을 중심으로 연구하고 교육해 왔다. 협동조합과 경영을 합친 접근이다.
성공회대학교 협동조합경영학과의 접근을 다르게 해석할 수도 있다. 협동조합이 경영이라는 일반 활동을 한정하는 개념으로 활용되기도 한 것이다. 항공(산업경영, 중소기업경영, 농업(기업경영, 수산업(기업경영 등과 비슷한 용법이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