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제1부 공자와 소크라테스의 사상: 그들은 무엇을 생각했는가?
1. 서론: 인간의 삶과 정치
2. 인간이란 무엇인가?
3. 공자 일생의 목표: 학문과 정치
4. 인(仁이란 무엇인가?
5. 정신세계에 관한 복잡한 이론들
6. 몸과 정신: 소크라테스 윤리사상의 출발
7. 공자와 학문
8. 학문과 교육
9. 공자의 교육관: 교육의 사회·경제적, 정치적 배경
10. 군자와 소인
11. 공자와 정치
12. 정체의 종류: 플라톤의 경우
13. 언어: 말과 글
14. 의(義 또는 정의(正義
15. 의(義와 예(禮
16. 인과 예
17. 예와 법
18. 그리스인들의 법관념
19. 정치인의 직분과 정치의 전문성
20. 공직윤리란 무엇인가?
21. 지식인의 정치참여
22. 그리스 도시국가와 아테네 민주정의 탄생
23. 공자, 그는 어떤 사람이었나?
24. 소크라테스의 교훈
25. 결론: ‘도덕적 존재’로서의 인간과 국가
제2부 공자와 소크라테스 평전: 그들은 어떻게 살았나?
1. 공자
가계, 어린 시절
젊은 시절, 입신
제나라에서의 모색
득의와 좌절
14년간의 주류천하: 이상과 현실의 간극
귀국 후의 5년
2. 소크라테스
어린 시절과 아테네
절제와 금욕의 일생
헬라스의 학교: 그 정체와 문화
아테네의 몰락과 인간 중심주의의 퇴조
관심의 이동: 우주에서 인간으로
그의 기질과 사명 그리고 신앙
정의와 도덕에 대한 인식과 의지
소크라테스 말년의 아테네 상황: 시켈리라 원정의 실패와 아르기누사이의 쓰라린 승리
민주정의 종언과 소크라테스의 기소
소크라테스의 재판
무분별한 아테네인들의 표적 또는 희생양?
철학의 이상과 철학자의 죽음
소크라테스
▶ 인간의 타고난 본성, ‘인(仁’
도덕적 인간을 만드는 ‘대화’
인간 중심의 국가 건설을 이야기하다
번지라는 제자가 인(仁에 대하여 묻자, 사람을 사랑하는 것(愛人이라고 했다. (… 인이 개인의 본성으로부터 사회윤리적 규범으로 발전되고 더 나아가서 천하 구원으로까지 확대되는 것을 공자는 이상으로 삼았다. (p.25
1부에서는 공자와 소크라테스의 사상을 토대로 공통의 정치사상을 찾아낸다. 저자는 먼저 공자의 사상을 소개하며 인간이 타고난 애타적 본성인 ‘인’에 대해 강조한다. 인이 사회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던 공자의 말을 인용하며, 저자는 공자가 설계했던 바람직한 국가상이 결국 인간 중심의 사회였음을 역설한다. 사회 구성원의 인간다운 삶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모든 국가 정책의 바탕에 인이 깔려 있어야 함을 강조했던 공자의 사상을 토대로, 저자는 ‘사람이 중심’이라는 공자의 정치사상을 찾아낸다.
대화는 개인들의 문제를 다루고 있으며, 그것은 인간의 문제를 탐구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었다. (… 소크라테스는 (… 대화를 통해서 진리와 정의, 공동선에 이를 수 있다고 믿었으며, 이것이 바로 학문이고 철학이라고 생각했다. (p.209~211
그렇다면 소크라테스의 사상은 어땠을까? 저자는 소크라테스가 ‘도덕적 인간이 모여 도덕적 국가가 만들어진다’고 주장했다는 점에 주목한다. 소크라테스는 사회를 구성하는 개인을 도덕적 인간으로 성장시키는 방법을 탐구했고, 그 해답을 ‘대화’에서 찾았다. 타인과의 교감을 통해 합리적인 생각과 성찰을 배운 개인이 곧 도덕적 존재가 된다고 여긴 것이다. 소크라테스가 평생 시도했던 끊임없는 문답은 곧 대화를 여는 열쇠였다. 저자는 이를 통해 소크라테스가 인간 혹은 인간 행동을 중심으로 생각하고 말했다는 점을 지목한다.
공자와 소크라테스는 개인과 국가의 관계에 대해 탐구했고, 두 사람 모두 생각의 중심에 ‘사람’을 놓고 있었다. 저자는 여기에서 공자와 소크라테스의 공통적인 정치사상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