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상세보기

도서명 정토불교 성립론 : 정토신앙의 논리와 윤리
저자 김호성
출판사 (주조계종출판사(지점
출판일 2020-12-23
정가 22,000원
ISBN 9791155801529
수량
머리말 004

제1부. 본질, 혹은 핵심은?

1장. 본원本願의 초대와 안심安心의 확립―「원왕생가願往生歌」의 정토해석학 020
Ⅰ. 「원왕생가」, 정토시?土詩의 백미 021
Ⅱ. 광덕의 신앙고백 023
1. ‘무량수불’과 ‘이 몸’의 대면對面 023
2. ‘무량수불’과 ‘이 몸’의 동시 성불 028
Ⅲ. 광덕 부인의 증언 035
1. 칭명稱名염불의 의미 036
2. 칭명염불과 16관의 관계 042
Ⅳ. 일연의 전언 047
Ⅴ. 종래의 견해와 다른 새로운 이해 050

2장. 극락의 존재 여부와 염불의 가능성 053
Ⅰ. 문제 : 극락은 존재하는가? 055
Ⅱ. 이미 주어져 있는 해답들 060
1. 신란親鸞, 본원의 진실을 보라 060
2. 잇펜一遍, 지옥도 극락도 다 버려라 068
Ⅲ. 새로운 해답의 모색 076
1. 의상義相, 새로운 해답의 선례先例 076
2. 아미타불이 되어라 083
Ⅳ. 문제의 해소 : 신심의 발견 086

제2부. 신자들의 삶은?

1장. 출가, 재가, 그리고 비승비속非僧非俗―야나기 무네요시의 『나무아미타불』 제17장을 중심으로 094
Ⅰ. 출가의 문제에서 재가의 문제로 096
Ⅱ. 출가와 스테히지리捨聖 100
1. 출가, 부처님 법대로 100
2. 지계持戒를 넘어 유행遊行으로 105
Ⅲ. 출가와 비승비속 112
1. 출가에서 비승비속으로 114
2. 비승비속, 재가를 거쳐 다시 출가로 122
Ⅳ. 출가는 쉽고, 재가는 어렵다 129

2장. 탈권력脫權力의 사제동행師弟同行―구라타 햐쿠조의 『스님과 그 제자』를 중심으로 136
Ⅰ. 정토 신자의 삶과 사제 관계 138
1. 인연 138
2. 문제의 제기 142
Ⅱ. 작품의 이해를 위한 예비적 고찰 146
1. 『스님과 그 제자』 이전의 구라타 햐쿠조 146
2. 『스님과 그 제자』의 대강 149
Ⅲ. 작품의 구조와 주제 155
1. 작품의 구
극락의 존재 여부를 떠나,
염불 행자(念佛行者가 펼쳐 보인 신심의 세계
극락의 존재 유무와 무관하게 정토신앙이 성립할 수 있음을 밝힌 선구자들이 있다. 일본 정토진종(淨土眞宗의 개조(開祖 ‘신란(親鸞’은 비승비속(非僧非俗, 승려도 아니고 속인도 아님을 개척한 인물이다. 신란의 사후에 제자 유이엔이 스승의 생전 말씀을 기록하여 펴낸 『탄이초』에 따르면, “염불을 하느냐 하지 않느냐”의 문제는 극락 존재와 같은 외부 대상이 아니라 “스스로가 어떤 존재인가”를 문제 삼는 자기성찰에 의해서 결정된다. 즉 나의 기(機에 계합하지 않는다면 아무리 좋은 법(法이라도 나를 구제해줄 수 없다. 신란은 극락의 존재 여부가 마음에 걸려 염불하지 못하는 현대인들에게, “중요한 것은 극락의 존재 여부가 아니라 본원의 진실함을 볼 수 있느냐 아니냐, 우리 한 사람 한 사람을 구제해주려는 아미타불의 자비에 우리가 감응하고 응답할 수 있는 감수성을 갖추고 있느냐 아니냐”에 달려 있다고 보았다. 아미타불의 본원이 진실함을 보는 자는, 그 사이의 중간 매개자들을 넘어 바로 아미타불과 일대일로 대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정토문의 한 종파인 시종(時宗의 개조 ‘잇펜(一遍’은 세속과 모든 것을 다 버린 성자 ‘스테히지리(捨聖’로, 전국을 떠도는 유행(遊行을 지속하며 길 위에서 왕생했다. 잇펜은 붓다의 유행처럼 “나무아미타불”을 포교하기 위해 여행했고, 어떤 환경에서도 “부처님 법대로” 살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모두 내다 버리고서 오직 “나무아미타불”만 염불하라고 한 잇펜에게 애당초 지옥이나 극락의 존재 여부는 문제 되지 않았다.
이 밖에도 저자는 우리 신라 시대 화엄종의 조사 의상(義相의 저서 『백화도량발원문』을 통해 극락의 존재 여부에 대한 난문에 나름의 새로운 해답을 모색한다. 중생과 아미타불의 관계를 새롭게 구성함으로써 자력과 타력이 둘이 아닌 세계(不二法門를 그리면서 이원 대립을 넘어섬과 동시에 극락의 존재 여부라는 문제 제기를 해소한다.

정토신앙에 몰두한 학문 여정의 결과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