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사 _ 고유환
발간사 _ 이찬수
서론 : 보훈, 통일에 기여하기 위하여 _ 이찬수
북한 애국심의 의미와 성격 탐색 _ 김희정
1. 서론
2. 북한 애국심의 의미
3. 북한 애국심의 성격 및 특징
4. 결론 및 제언
북한의 남한 민주화 운동에 대한 평가와 통일정책 변화
: 김일성 시기 남북역학관계 변화를 중심으로 임상순
1. 서론
2. 1960년 4·19 혁명에 대한 북한의 평가와 통일정책
3. 5·18 광주민주화운동에 대한 평가와 통일정책
4. 87년 6월 항쟁에 대한 북한의 평가와 통일정책
5. 결론
북한의 보훈, 그리고 한반도 통일 _ 이철
1. 북한에서 보훈의 함의
2. 북한이 지향하는 보훈정책
3. 북한의 보훈대상
4. 한반도 통일을 지향하는 통일 보훈
남한의 보훈과 한반도 통일 _ 전수미
1. 서론
2. 북한은 우리에게 무엇일까
3. 통일대비 남한 보훈제도와 문제점
4. 서독 및 동독, 통일독일의 보훈제도
5. 결론 : 한반도 통일에 따른 보훈의 방향
보훈과 통일의 공동 지향에 대한 모색 서운석
1. 서론
2. 보훈정책의 이해와 미래 전망
3. 보훈과 통일의 공동 지향 모색
4. 결론
결론 : 통일을 내다보는 보훈 _서보혁
독립유공자, 호국유공자, 민주유공자와 그 후손의 복지와 행복은
국가와 국민(시민이 책임져야 할 몫이다! 그것이 역사의 정의다!
보훈(報勳의 뜻은 “국가를 위하여 희생하거나 공헌한 사람의 숭고한 정신을 선양하고 그와 그 유족 또는 가족의 영예로운 삶과 복지향상을 도모하며 나아가 국민의 나라사랑정신 함양에 이바지”하는 행위이다. 다시 말해 국가와 민족을 위해 희생한 사람을 국가가 나서서 명예롭게 하고 그 뜻과 그 후손의 삶이 영예롭게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현재의 국민들도 나라사랑을 위한 헌신을 할 수 있도록 독려하는 의미도 함께 갖춘다.
보훈은 크게 ‘독립’ ‘호국’ ‘민주’라는 세 영역으로 구성된다. 최근에는 여기에 ‘사회공헌’ 영역이 새롭게 추가되어 점점 범위를 확장하고 있다. 보훈과 관련된 원인 행위와 보훈의 주체가 주로 국가와 관련된 것으로 이해되다 보니, 일반 국민의 관점에서 보훈은 ‘내 일이 아닌 것’으로 치부되거나, 일부 ‘보훈가족’의 일로서 여겨지기 십상이다. 또한 보훈은 ‘과거의 일’에 대한 사후적 조처이나 남과 북의 대립이라는 갈등적 요소를 안고 ‘체제 수호’에 전념하는 가치로 치부되기 십상이다.
그러나 이 책(제5권-통일로 가는 보훈에서 제기하는 바와 같이 한국의 보훈정책은 얼마든지, 그리고 반드시 통일의 관점에서 성찰하고, 미래지향적인 방향과 목표를 설정할 수 있다. 이런 관점에서 보훈은 국가수호뿐만 아니라 통일 위업을 위한 헌신까지도 아우를 수 있게 되며, 대결적 구도를 넘어 평화와 상생의 가치로 재조명할 수도 있게 된다.
보훈을 매개로 통일을 꿈꾸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상대’인 북한에 대한 이해의 증진을 요구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남과 북의 갈등의 역사를 치유하고, 화해와 상생을 통한 통일과 공존공영의 길을 모색하는 것은 ‘통일로 가는 보훈’의 핵심 가치이자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보훈의 전통적인 대상자로서 순국선열, 애국지사, 참전유공자, 민주화 관련 희생자와 부상자, 참여자와 또 그 후손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