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의 아들, 왕, 그리고 아버지로서의 한 인간
세종의 삶은 어땠을까?
역사상 가장 빛나는 문화 창달을 이끈 세종대왕.
하지만 왕의 아들, 왕 그리고 아버지로서의 한 인간의 삶은 어땠을까?
세종의 내면에 있었을 8가지 고뇌를 돌아본다!
세종은 아버지 태종 이방원의 결단으로 양녕이 폐위되면서 왕위계승 수업도 받지 못하고 왕이 됐다. 하지만 왕권을 더 공고히 하려는 태종의 ‘애정 어린’ 4년간의 섭정을 받으며 큰 소리 한번 치지 못하고 씁쓸함을 겪어야 했다. 상왕의 서슬 퍼런 기세에 장인은 사약을 받고 중전 소헌왕후는 폐비 위기를 맞으며 처갓집이 쑥대밭이 되는 것을 지켜봐야만 했다. 그뿐만이 아니다. 황희와 같은 대신의 부정과 비리를 눈 감아줘야 할 수 밖에 없는 상황에서 신권을 내세우는 기세등등한 사대부들과의 관계를 견제해야 했고, 중국 명나라 중심의 국제질서 속에서 조선의 위상과 역할을 다잡아야 했으며, 문약한 장남인 세자 이향, 왕성한 차남 수양대군, 삼남 안평대군을 보면서 자신의 사후, 왕권이 풍전등화에 놓일 것을 걱정하지 않았을 수 없었다.
이 책은 600여 년 전 조선으로 돌아가 세종이 처했을 가족관계, 조정의 군신관계 등의 인간관계와 주변국 정세 변화 속에서의 조선 왕의 실제 모습을 8가지 고뇌로 나누어 천착해 따져본다. 과연 늦게까지 일하는 성균관 유생에게 옷을 덮어준 자애로운 임금이었는지, 과학기술 중흥을 위해 신분의 고하를 막론하고 장영실 같은 노비출신을 등용하여 쓸 만큼 개방적이고 진보적인 인물이었는지도 엿볼 수 있다. 그럼으로써 세종이 어떻게 자신의 고뇌를 벗어나 현명한 군주로서의 통치와 당장이 아니라 500년 미래를 내다보는 혜안을 발휘할 수 있었는지를 따라가 볼 수 있게 한다.
한글 반포 572주년, 세종은 왜 결사반대하는 신하들과 중국의 눈치를 보면서까지
한글 창제를 강행했을까?
과연 그의 시대는 왕권이 안정되고 백성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