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 K. 체스터턴은 누구인가?
체스터턴은 칼럼니스트이자 평론가였고, 소설가요 시인이자 기독교 변증가였다. ‘브라운 신부’ 시리즈로 추리 문학의 거장으로 자리매김했을 뿐 아니라, 조지 버나드 쇼, 버트런드 러셀, H. G. 웰스 등 당대의 지성인들과 논쟁을 벌이며 ‘현상을 꿰뚫어 실상을 드러내는’ 평론가로도 명성을 떨쳤다. 한국 독자들에게는 비교적 낯선 이름이지만, C. S. 루이스, 존 스토트와 더불어 20세기 영국을 대표하는 기독교 변증가로 손꼽히는 인물이다. C. S. 루이스는 체스터턴의 대표작 《영원한 사람》을 가리켜 “내가 아는 한 최고의 기독교 변증서”라고 칭했으며, 필립 얀시는 《정통》을 가리켜 “나의 영적 방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책”이라고 했다. 조지 버나드 쇼는 체스터턴을 가리켜 “거대한 천재성을 지닌 사람”이라 했고, 소설가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는 “탐정 이야기를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지 가장 잘 아는 사람”이라 했으며, T. S. 엘리엇은 “후대에 영원토록 존경받아 마땅한 사람”이라 평했다.
■ 체스터턴의 글은 이해하기 어렵다?
그러나 우리는 20세기 초반 영국 문학계와 지성계를 쥐락펴락했던 이 인물의 이름이 여전히 낯설다. 이유가 뭘까? 많은 이들이 체스터턴의 글을 이해하기 어렵다고 말한다. 더러는 논리의 흐름을 파악하기도 힘들다고 토로한다. 얼핏 보면, 논지가 다소 산만하게 흘러가는 것 같기도 하다. 그렇다면 그토록 수많은 작가가 체스터턴의 문장과 작품을 칭송하는 이유는 뭘까? 어떻게 하면 체스터턴의 작품을, 그만의 매력과 진가를 오롯이 느낄 수 있을까? 역설적이고 재기 넘치는 그의 논증을 한 문장씩, 혹은 한 문단씩 떼어 음미해 보면 어떨까? 이 선집은 아직 체스터턴의 이름조차 낯선 사람들, 체스터턴을 알고 싶어서 두꺼운 작품을 집어 들었다가 중도에 포기한 사람들, 그래서 체스터턴의 글은 이해하기 어렵다고 한숨짓는 사람들에게 체스터턴이 건네는 가벼운 첫인사라 할 수 있다.
■ 문학과 예술, 정치와 사회, 신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