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양의 동양인식과 일본의 조선인식
이진일 | 서양 지리학과 동양인식-동아시아를 지리적으로 위치 짓기
정현백 | 서구 동양학의 계보와 동양인식-제국주의 시대 동아시아학과 그 학자들을 중심으로
이규수 | 일본의 ‘동양학’과 ‘조선학’의 계보-근대 일본의 식민정책학에 나타난 조선인식
Ⅱ. 근대 동아시아의 자의식과 타자인식
구태훈 | 일본적 유학의 성립과 그 의미
오영섭 | 위정척사사상가들의 사유구조와 서양인식-화서학파의 경우를 중심으로
최규진 | 청일전쟁기 지식인의 국제정세 인식과 세계관
펑춘링 | 근대 중국의 민족주의 사조와 아시아 구상의 관계
Ⅲ. 동아시아의 문명론과 도덕담론
김윤희 | 문명개화론의 계보와 분화
배항섭 | 동도서기론의 구조와 전개양상
권석영 | 일본의 초기 제국주의론과 도덕 담론-국가적 도덕과 세계적 도덕, 또는 국민적 입장과 인류적 입장
최규진 | 우승열패의 역사인식과 ‘문명화’의 길
Ⅳ. 동아시아 지성의 교류와 응용
탄슈린 | 레지스(Regis와 강희 황여전람도의 제작
왕신레이 | ‘신사유람단’과 ‘영선사’를 통해 본 동아시아의 근대화-동아시아사 연구에서 한국의 지위(地位 문제를 겸론하여
시라이준 | 마에마 교사쿠(前間恭作와 아유카이 후사노신(鮎貝房之進의 교류-자이잔로(在山樓문고 자료를 중심으로
황호덕 | 정체(政體와 문체(文體,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언어정치학과 조소앙(趙素昻-한문자(漢文字의 맹서(盟誓, 조소앙의 선언·성명·강령 집필과 한국문원(韓國文苑을 중심으로
<근대전환기 동·서양의 상호인식과 지성의 교류>는 ‘동아시아 지성의 계보와 역사인식’이라는 중점연구소 과제로 진행된 총서의 두번째 결과물이다. 이 책은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역사연구소가 2010년도 정부재원(교육과학기술부 인문사회연구역량강화사업비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어 출판하였다(NRF-2010-413-A00003. 이 책은 근대 전환기에 동서양이 상대방을 어떻게 바라 보았고 근대 학문이 동아시아에서 어떻게 교류되고 있었는가에 관심을 가지고 검토하였다.
이 책은 네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양의 동양인식과 일본의 조선인식에서는 서양의 지리학과 동양학의 동아시아 인식 등을 검토한 세편의 글이 게재되어 있다. <서양지리학과 동양인식 : 동아시아를 지리적으로 위치 짓기>(이진일에서는 19세기 후반 이후 독일 지리학이 식민정책의 동아시아로의 확대와 함께 지역(region 또는 지역화(regionalization 연구와 관련하여 어떻게 발전하였으며, 특히 1차 세계대전을 기점으로 변화되는 지리학 내의 논의들에 따라 동아시아를 구획하는 내용에는 어떤 변화가 일어났는지, 그 변화 과정을 추적하였다. (서문 中
[저자소개]
구태훈 | 성균관대학교 사학과 교수
권석영 | 홋카이도대학교 문학연구과 교수
김윤희 |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연구교수
배항섭 |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HK교수
시라이준(白井順 | 일본 가쿠슈인대학교 동양문화연구소 연구원
오영섭 | 연세대학교 이승만연구원 연구교수
왕신레이(王?磊 | 중국 푸단대학교 문사연구원 조리연구원
이규수 |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연구교수
이진일 |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역사연구소 수석연구원
정현백 | 성균관대학교 사학과 교수
최규진 |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역사연구소 수석연구원
탄슈린 | 중국 난징대학교 역사학과 교수
펑춘링(彭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