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부 호영송
1964년은 특별한 연극의 해였다
셰익스피어는 언제까지 위대한 작가인가?
셰익스피어는 신앙인이었나?
셰익스피어에 사로잡힌 영혼
비극작가의 희극의 가벼움
〈햄릿〉이 존재하는 방식
영국인들에게 내린 축복
셰익스피어와 함께하는 저녁
욕망이라는 이름의 정치, 혹은 정치라는 이름의 욕망
한국 연극이 세계 속의 큰 무대에 오르는 길
‘이아고’를 새총으로 쏜다, 배우를 권총으로 쏜다
이제 그 바다 앞에서 말한다
천재 극작가 체호프가 꽃 피던 이야기와
셰익스피어의 품에서 천직을 찾은 이들
2부 안치운
한국 연극의 셰익스피어 수용
1. 일제강점기 시대
2. 1945년 해방 이후, 대학 중심으로의 셰익스피어
3. 리얼리즘과 셰익스피어
4. 변용과 수용의 셰익스피어
5. 1980년대, 정치극으로서 셰익스피어 수용
6. 서구 연극 및 이론의 수용과 전통에 대한 새로운 인식
7. 결론: 셰익스피어와 함께한 한국 연극
“1964년은 특별한 해였다”
1부에 수록한 호영송의 에세이는 “1964년은 특별한 해였다”라는 문장으로 시작한다. 1964년은 한국 연극계가 어려운 환경 속에서 “셰익스피어 탄생 400주년 기념 페스티벌”을 치러낸 해다. 당시 연극영화학과 학생으로 이 페스티벌을 목격한 저자는 명동 국립극장 앞의 풍경, 드라마센터의 개관, 이해랑과 여석기 등 한국 연극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인물과의 일화를 생생하게 그려낸다.
단편 <죽은 소설가의 사회>로 2006년 제32회 한국소설문학상을 수상하기도 한 저자는 그 자신이 말하듯 “연극에 대한 좋은 의미의 딜레당트”로서 이 책을 썼다고 밝힌다. 이 책에 담아낸 14편의 에세이는 연극인은 물론 순수하게 흥미로운 이야깃거리를 찾는 독자에게 매력 있게 다가갈 것이다. ‘셰익스피어는 정말로 위대한 작가인가?’, ‘셰익스피어는 신앙인이었을까?’ 같은 누구나 생각해볼 법한 질문부터 반세기 전 연극의 풍경까지, 대문호 셰익스피어의 면면을 흥미롭게 풀어냈다.
“셰익스피어는 한국 현대 연극의 역사”
2부에 수록한 안치운의 ‘한국 연국의 셰익스피어 수용’은 일제강점기부터 20세기 후반까지 한국 연극에 셰익스피어가 어떻게 유입되고 공연되었는지를 살핀다.
20세기초 일본 제국주의를 합리화하는 ‘개화기’ 식민교육의 일환으로 유입된 셰익스피어는 ‘세이구스비아’, ‘유염 색토비아’ 등의 이름으로 한국에 처음 소개되었다. 초기에는 서양 문호의 한 사람으로 소개되어 일본어 공연과 영화 상영, 경구 소개 등이 주를 이루었으나, 이후 여러 번역과 공연을 거치며 한국 연극에 녹아들었다.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을 거치고 셰익스피어는 대학을 중심으로 수용의 폭을 넓혀갔다. 영어영문학과 학생들을 중심으로 한 공연과 여러 학자들의 번역을 통해 대중 속으로 파고들었다. 이후 셰익스피어는 1980년대의 정치극으로서의 공연과 해체적 관점에 따른 연출 등 여러 방향과 형태로 한국 연극의 역사와 함께한다.
2부는 셰익스피어 수용 초기부터 현대까지 한국 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