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 혐오의 원인과 메커니즘을 찾아서 / 조화순·임정재
제2장 | 성소수자와 혐오담론 / 조화순·강신재
제3장 | 혐오가 유머를 만날 때: 유머를 통한 타인에 대한 혐오 증폭과 한국의 젠더 갈등 / 연지영·이훈
제4장 | ‘분노’는 어떻게 우발적 범죄가 되었을까?: 사회적 의미생성 메커니즘의 이해 / 이선형
제5장 | 노인소외와 앵그리 올드, 그리고 앵그리 영의 노인혐오 / 오주현
제6장 | 온라인 공간의 정치적 토론과 혐오: 시민 참여의 양면 / 권은낭·강정한
제7장 | 결속과 연계의 소셜미디어: 이민자에 대한 한국인의 포용성 / 김기동·이재묵
제8장 | 투표 불평등의 사회구조: 주거 이질성 / 김범수
혐오의 원인과 메커니즘에 대한 다학제적 연구
오늘날 개인과 집단은 온라인 공간을 이용해 서로를 노골적으로 비난하고 혐오하고 있다. 혐오를 드러내는 것은 한국 사회의 보편적인 정서가 되었다. 소셜 미디어에는 외국인 근로자, 다문화 가정, 성소수자, 여성과 남성 등 특정인에 대한 혐오와 비난이 넘쳐난다. 혐오가 증폭되어 혐오 대상에 대한 차별로 이어지는 것을 막으려면 혐오의 원인과 결과를 탐구하고 분석해야 한다. 이 책은 온라인 공간에서 발현되는 집단 정체성의 극화 문제와 혐오의 원인을 다학제적 차원에서 고민하고 이에 대한 해결의 실마리를 찾고자 하는 데서 출발했다.
이 책의 저자들은 오늘날 한국 사회의 핵심적인 문제를 ‘혐오’로 진단하고, 네트워크 사회로 들어서면서 혐오가 더욱 격화되고 있다는 문제인식을 공유하고 있다. 온라인 공간이 특정 개인과 집단에 대한 혐오와 차별을 위한 창구로 활용되고 있다면 정보기술에 기반한 사회를 무조건적으로 낙관할 일은 아니다. 이 책은 온라인에서 발현되는 혐오의 원인과 양상을 다양한 차원에서 접근하고 있다. 혐오의 문제와 영향력을 진단하려는 이러한 시도는 한국 사회가 현재 맞닥뜨린 문제를 명확히 이해하고 토론하는 계기를 제공할 것이다.
각 장의 내용
제1장 ‘혐오의 원인과 메커니즘을 찾아서’는 혐오에 대해 ‘특정 개인과 집단이 자신의 행복, 성공, 건강한 삶에 위협이 된다고 느낄 때 나타나는 감정’이라고 규정한다. 이 글은 개인적으로나 집단적으로 혐오가 발생하는 이유에 대해 고찰하는 한편, 혐오의 동기와 형태를 인지적 차원, 정치적 차원, 사회적 차원 등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한다.
제2장 ‘성소수자와 혐오담론’은 한국 사회에서 나타나는 성소수자에 대한 차별과 혐오, 갈등에 관해 논의한다. 이 글은 전통적인 미디어가 성소수자를 둘러싼 담론을 형성하는 데 지대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에 주목해, 보수언론인 ≪조선일보≫와 ≪동아일보≫, 진보언론인 ≪한겨레≫와 ≪경향신문≫이 매체의 정파성에 따라 성소수자 이슈를 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