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진규 박사, 그녀는 누구인가
1999년 한국을 강타한 책 한 권이 있다. 입소문이 바람처럼 퍼져 전국의 각 서점에서 베스트셀러 1위를 기록하던 그 책은 유명 문학인의 작품도, 이름으로 유명세를 떨치는 연예인이나 정치인의 그것도 아닌 아주 평범한, 그래서 혹 낯설기도 한 한 여성의 자전적 에세이였다. 『나는 희망의 증거가 되고 싶다』. 40만 가까운 독자들이 이 책에 열광했고 온갖 매스미디어가 이 여성에게 포커스를 맞췄다. 서진규. 한국인이면서 미군이었던 그녀의 자전적 스토리는 죽을 마음이었던 여러 사람들을 삶의 길로 인도했을 만큼 희망의 오롯한 상징 그 덩어리였다. 그렇게 그녀는 희망의 메신저로 다시 태어나 우리에게로 왔다. 그게 시작이었다.
가난한 엿장수의 딸로 태어나 남녀 차별이 심한 집안에서 오로지 공부로 버티어 서울에서 여고까지 마쳤지만 서진규에게 현실은 가혹하리만치 냉혹했다. 변변한 직장 하나 잡지 못해 가발공장 여공, 골프장 식당 종업원으로 일하다가 우연찮은 기회에 미국에서 식모를 찾는다는 광고 하나를 보고 미국 땅으로 건너갔다. 웨이트리스로 일하게 되면서 돈을 벌고 생활은 나아져갔지만 마음 속 한구석에 남은 허전함은 여전했다. 이유는 분명했다. 대학생이 된 또래 친구들처럼 그녀는 공부를 하고 싶었던 것이다.
그래서 시작했다. 남들이 가는 대로 평범하게 따라간 길이 아니었기 때문에 실패에 얻어맞고 좌절에 쓰러진 적 많았다. 하지만 애초에 쉬웠다면 시작이 어려울 리 없었다고 긍정하는 힘, 그 토양으로 빚어진 이가 바로 서진규였다. 오뚝이보다 더 힘차게 땅을 박차고 일어나는 그 반동의 중심에 그녀가 있었다. 공부에 제법 맛이 들어갈 무렵… 그녀에게 시련이 닥쳤다. 우연찮은 만남으로 한 남자를 만나 결혼을 하고 아이까지 낳았지만 그의 폭력에 시달려야 했기 때문이다.
그의 손아귀에서 벗어나기 위해, 생계를 위해, 더불어 갓 낳은 딸의 미래를 위해 여군에 입대했다. 스물 초입의 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