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아 있는 역사, 현대건축가 구술집 시리즈를 시작하며
『유걸 구술집』을 펴내며
1 가족과 성장기의 경험들
출생과 가족 / 한국전쟁의 경험 / 경기 중고등학교 시절/ 취미와 여행 경험 / 서울공대 진학
2 대학과 건축 초년 시절
공대 건축과 시절 / 무애건축 시절
3 1960년대 작업과 도미
김수근 연구소 시기의 작품들 / <정릉주택>(1969 / <정릉교회> 현상설계(1970 / 한국종합기술개발공사 / 『공간』과 김수근 / 60년대 말 / 결혼 / 도미 / 가족 / 덴버. 정착기 / RNL 디자인 시절
4 1970~1980년대 초 미국에서의 활동과 교훈
도미 전의 작업들 추가 / RNL에서의 초기 작업 / 한국과의 차이 / <성 제임스 천주교회> 설계 과정(1972~1973 / <덴버시 경찰서>(1974~1975 / <제너럴 인슈어런스 빌딩> / 주택 사업 / 김수근의 방문 / 미국에서 얻은 교훈
5 1980년대 중반 귀국과 초기 작업들
<서세옥 주택>(1986 / 주택 3제(1991 / 80-90년대 개인 작업 시기 / 열린 공간
6 1990년대 대형 프로젝트의 시작
고속철도 / <요코하마 터미널>과 <국립중앙박물관>(1995 현상 / <명동 대성당 건축 설계경기>(1996 / 1990년대 중반-2000년대 중반 개괄 / <밀알학교>(1995~1997 / <밀알학교 2차>(2002 / 밀알학교 3차>(2007~2008
7 2000년대 전반기의 작업들
학교 강의 / 2000년대 프로젝트의 시작 / <벧엘교회(밀레니엄 커뮤니티 센터>(1999~2005 / <배재대학교 프로젝트>(2002~2010 / 아이아크 파트너십 / <계산교회>(2005~2007
8 2000년대 후반기의 작업들
현상(2007 / 비정형 건축물 / <아산정책연구원>(2008~2009 / <서울시청>(2005~2012 / 주거 프로젝트 3건 / <아시아문화전당(ACC> 현상(2005
9 2010년 이후의 작업들
<다음
『유걸 구술집』을 펴내며 중에서
목천건축아카이브 한국현대건축 구술채록 시리즈의 신간으로, 김정식 선생, 안영배 선생, 윤승중 선생, 4.3그룹, 원정수 선생과 지순 선생, 김태수 선생, 김종성 선생, 서상우 선생의 구술집에 이은 아홉 번째 출간이다. 예외적으로 1990년대 초의 그룹활동을 조명했던 네 번째 구술집을 제외한다면, 그간의 구술채록은 1930년대에 태어나 1960-90년대에 걸쳐 우리나라 고도 경제성장기의 건축을 견인했던 전후 현대건축 첫 세대의 증언을 담았다. 반면 유걸 선생은 1940년 생으로 출생이 조금 늦을 뿐 아니라 건축가로서 인생의 궤적이 꽤나 남달랐다. 대학졸업 후 사회초년생 시절은 앞선 구술자들과 어느 정도 활동영역이 유사하나 (특히 김수근 선생 문하의 시기는 윤승중 선생과 겹쳐 당대의 진술에 또 하나의 층을 더한다, 1970년 도미 이후의 행보는 확연히 다르다. 우리의 사회적, 경제적 격변기인 1970-80년대를, 그리고 건축가로서 가장 활동적일 30-40대 시절을,
선생은 미국 콜로라도주의 주도인 덴버에 정착하여 지역 사무소인 RNL에서 프로젝트디자이너로 활동했으며 직접 작은 주택사업을 벌이기도 했다. 국내에서는 1980년대 중반부터 <서세옥 주택> 등 몇몇 프로젝트를 맡기 시작하여 90년대에는 한국에도 작은 조직을 두고 두 나라를 오가며 활동하다가, 본격적인 상주는 2002년 경희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의 전임교수로 임용되면서 비로소 시작되었다. 이때부터 2010년대 후반까지가 선생이 아이아크 조직을 기반으로 우리 건축계에서 가장 활발한 활동을 했던 시기이다. 50대만 돼도 설계가 아닌 경영으로 물러나곤 하는 우리 건축계의 일반 경향과 달리, 선생은 70대까지 현역건축가로서의 위치를 유지했다. <밀알학교>, <밀레니엄 커뮤니티 센터>, <서울시청>, <트라이볼> 등 대표작들이 이 시기에 배출되어, 1960년대에 독자적인 설계를 시작한 선생이지만 21세기 건축가라는 표현이 전혀 어색하지 않다. 선생의 많은 작품들은 기존의 틀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