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프롤로그
문제 제기
앞선 연구들
연구 방법과 범위
제1장 독립운동의 거두
제1절 서울에서 옌안까지
1. 14살에 3.1운동 참여
2. 서울에서 청년운동
3. 중국 망명
4. 상하이에서 독립운동
5. 중공군 포병 장교가 되다
6. 2만 5천 리 대장정의 사투
7. 팔로군 포병단장
제2절 중국공산당 수뇌부와 무정
1. 중공 최고지도부와 친교
2. 중국공산당 수뇌부의 중매
3. 신민주주의와 통일전선
제3절 화북조선청년연합회 창립
1. 화북조선청년연합회 창립
2. 조선의용대 화북지대 출범
3. 조선인 혁명 세력의 실체 과시
제4절 조선의용군 사령관
1. 화북조선독립동맹 창설
2. 무력투쟁의 첨병 조선의용군
3. 청년독립군의 산실 조선혁명군정학교
제2장 연안파의 분열
제1절 개인 자격 입국
1. 선양 탈출과 지도력 타격
2. 조선의용군 무장 입국 실패
3. 개별적으로 기차로 입국
4. 입국일은 1945년 12월 13일
5. 동북조선의용군의 확대와 입북
6. 동북조선의용군과 무정
제2절 귀국 후 연안파의 분열
1. 무정은 조선공산당으로
2. 김두봉은 조선신민당 창당
3. 옌안 시절부터 갈등
4. 해방 정국 연안파 분열의 의미
제3장 김일성과 무정
제1절 김일성과의 경쟁
1. 황해도의 ‘위대한 아버지’
2. 1946년 초까지 큰 인기
3. 남한정치에서도 큰 비중
4. 김일성의 견제
5. 김일성의 연안파 분열 전략
제2절 당에서 군으로
1. 1946년 당내 권력 상실
2. 북한군 창설에 핵심 역할
기울어 가는 나라, 분연히 일어서다
대한제국 광무 8년(1904년, 러시아와의 전쟁을 일으킨 일본은 2월 ‘한일의정서’를 강제로 체결하여 한반도를 군사기지화한 데 이어 8월 22일 ‘제1차 한일협약’에 강제로 조인케 했다. 이로써 대한제국의 재정권과 외교권이 박탈되고 일제의 침략이 가속화되었다. 무정(武亭은 이렇게 나라가 급속히 기울어 가던 그해 5월 함경북도 경성에서 태어났다. 본명은 김병희(金炳禧이나, 중국에서 군관학교에 다니던 때 전투에 참여한 적이 있었는데 그때 그의 상관이 군인을 뜻하는 ‘무(武’ 자를 넣어 지어 준 이름이 무정이라 전한다.
경성에서 나남공립보통학교에 다니던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자 불과 15살의 나이로 참가했다. 다음 해 이 학교를 졸업하고 서울의 중앙고보로 진학했으나 1922년 3월에 퇴학했다. 일제 총독부 자료는 그 이유를 ‘병’으로 기록하고 있으나, ‘병’ 때문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당시는 3.1운동 이후 학생운동이 활성화되고 있어 1921년 7월 중앙고보를 비롯한 7개 학교의 교장들이 회의를 열고 전문학교 학생 이상만 학생운동을 허용하기로 결의했다. 이에 따라 고보 학생들은 운동 조직에서 탈퇴해야 했으므로 무정이 학교와의 갈등 때문에 퇴학한 것으로 보인다. 퇴학한 그다음 달에 바로 경성기독청년회관에 입학한 것으로 미루어 추정해 볼 수 있다. 1923년 4월 경성기독청년회관을 졸업하고 경성여자강습학교에서 교사생활을 했다.
사회주의 활동에 뛰어들다
무정은 경성기독청년회관 졸업 전인 1923년 2월 ‘서울청년회’에 가입하여 사회주의 활동을 시작했다. 1921년 1월에 출범한 서울청년회는 초기에 사회주의와 민족주의 계열이 모두 참여했으나 1922년 4월 민족주의 계열을 축출하고 사회주의 단체로 개편되었는데, 무정이 가입한 시기는 사회주의화된 이후였다.
1923년 3월 서울청년회가 주도한 ‘전조선청년당대회’에 무정도 참여했는데 사회주의 성격이 강해 일제에 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