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 “보도지침 사건이 뭐예요” ? 5
제1장 개화기의 언론 ① 1883~1897년 ? 17
『한성순보』이전의 언론 활동 | 근대의 시발점이 된 1876년 강화도조약 | 온건개화파와 급진개화파의 등장 | 개화파와 위정척사파의 갈등 | 1883년 『한성순보』의 창간 | 『한성순보』의 보도 내용과 성향 | 1884년 갑신정변과 『한성순보』의 폐간 | 1886년 『한성주보』의 창간 | 전신 매체의 도입과 개신교의 선교 활동 | 1894년 동학혁명과 청일전쟁 | 1895년 을미사변과 아관파천 | 1896년 『독립신문』의 창간 | 『독립신문』의 노선과 성향 | 『독립신문』의 독자와 광고
제2장 개화기의 언론 ② 1897~1910년 ? 49
『독립신문』과 만민공동회 활동 | 1898년 최초의 일간지 『?일신문』 창간 | 『제국신문』과 이승만의 언론 활동 | 유생·양반 계층을 겨냥한 『황성신문』의 창간 | 『시사총보』·『상무총보』와 개신교 신문의 창간 | 전화, 유성기, 전차, 영화, 기차의 등장 | 1904년 『대한매일신보』의 창간 | 1905년 을사늑약과 「시일야방성대곡」| 1906년 『국민신보』·『만세보』·『경향신문』의 창간 | 『대한매일신보』의 반일 민족주의 | 1907년 광무신문지법과 일제의 언론 탄압 | 『대한매일신보』와 국채보상운동 | 『소년』과 『대한민보』의 창간 | 일제의 강점과 신문들의 폐간
제3장 일제강점기의 언론 ① 1910~1929년 ? 83
일제의 ‘무단정치’와 분할통치 전략 | ‘무단정치 시대’의 신문 | 수탈의 통로로 건설된 철도와 신작로 | 무성영화와 연쇄극의 인기 | 3·1운동과 지하신문의 활약 | 일제의 ‘문화 통치’와 친일파 육성 공작 | 일제가 신문 발행을 허가한 이유 | 1920년 『조선일보』·『동아일보』·『시사신문』의 창간 | 『개벽』·『창조』·『폐허』·『백조』의 창간 | ‘청년 신문’ 『동아일보』의 혈기 왕성 | 『동아
개화기부터 문재인 정권까지
한국 언론사의 변화를 담아내다
강준만 교수는 ‘언론사’가 가장 재미있고 유익한 과목이 될 수 있으며 되어야 한다고 믿는 언론학자다. 『한국 언론사』는 이런 생각에 기반해 집필한 책이다. 강준만 교수는 ‘사회를 짙은 어둠 속에 놔두지 않고 언론 관련 사건의 맥락을 제시해주는 방식’으로 이 책을 집필했다. 이 책에서는 사회를 짙은 어둠 속에 놔두지 않으면서도 언론 중심으로 압축했다.
강준만 교수가 『한국 언론사』를 집필하면서 가장 신경을 쓴 것은 ‘객관성’이다. 책을 집필하는 내내 ‘주관’을 어느 정도 반영할 것인가 하는 고민을 멈추지 않았던 저자는 ‘객관성’을 위해 책의 구성까지 손보았다. 처음엔 각 장을 정권별로 나누지 않고 큰 흐름 중심으로 시대적 특성에 맞게 분류하고 그 특성을 표현하는 제목을 붙이는 시도를 하기도 했지만, 그런 분류에 왜곡의 소지가 있을 수도 있다는 판단을 내리고 정권별 분류를 유지하면서 ‘객관’과 ‘공정’을 중시하는 기록에 충실하기로 한 것이다. ‘객관’과 ‘공정’은 영원히 도달할 수 없는 이상이지만, 『한국 언론사』는 가능한 한 그 이상에 근접하고자 애를 쓴 책이다.
한국 언론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카타르시스’ 제공
개화기에서부터 2019년 문재인 정권에 이르기까지 한국 언론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카타르시스 제공이었다. 대중문화도 마찬가지였다. 표현?접근?유통 방식의 차이만 있었을 뿐 체제를 선전하거나 체제에 저항하는 건 다를 게 없었으며, 수용자의 호응을 얻어야만 생존할 수 있다는 것도 같았다. 언론과 대중문화는 각자 다른 방식으로 같은 기능을 수행해온 것이다. 한국 언론과 대중문화를 포괄하는 한국 대중매체의 역사를 꿰뚫는 하나의 키워드가 있다면, 그것은 바로 카타르시스다. 대중의 한을 달래주고 스트레스를 해소시켜주는 카타르시스 기능에 관한 한 한국 대중매체는 박수를 받을 만하다. 대중의 가슴속을 일시적으로나마 후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