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국인이 알아야 할 농업
. 지구의 역습과 먹거리 주권
. 농업에 숨겨진 인간의 탐욕
. 공장식 식량생산과 먹거리 안전
. 세계화 추진과 농업환경의 변화
. 농업·농촌, 그리고 식량의 가치
. 국제적인 교역과 식량정책의 변화
. 농업·농촌, 왜 어려운가
. 농민운동의 변화와 먹거리운동
2. 코로나 대창궐(팬데믹
. 인간문명의 환경파괴
. 인간사회의 변화
3. 포스트 코로나 시대 농업은?
. 포스트 코로나 시대, 어떻게 변화할 것인가?
. 포스트 코로나 시대, 농업의 전망
. 포스트코로나시대 정부 대응전략
4. 포스트 코로나 시대, 농업 대안을 위한 고민
. 상시적 전염병 시대의 중심 테마는?
. 농업대안을 위한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고민
5. 포스트 코로나 시대 농업, 우리의 대응방안
. 포스트 코로나 시대, 농정의 방향은?
. 포스트 코로나 시대 농업, 어떻게 할 것인가?
. 포스트 코로나 시대 농림업, 온실가스 저감은?
문명 다이어트, 농업 다이어트를 위하여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는 경제·사회·환경 등의 급격한 변화로 대전환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더구나 최근에는 저출산, 고령화, 저성장, 균형발전 등 국가적으로 여러 가지 어려운 여건에 직면하고 있어서 국가의 미래비전이나 전략과 관련해서도 새로운 합의가 필요하다.
과제로 풀어보면 기후 및 불평등의 위기에 더해 코로나 팬데믹의 상황이 겹쳐 있고, 국가적으로도 저출산, 지방 소멸, 균형 발전, 저성장 등의 극복과제까지 돌파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인간사회의 안정을 찾기 위한 지속 가능성과 공공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전염병의 확산을 막기 위한 비대면 사회를 만들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4차 산업을 가미한 스마트농어업 체계를 갖춰야 하며, 농산물의 비대면적인 서비스 전달체계를 갖추어야 한다는 과제도 있다.
식량문제가 국제적으로 차단되고 있는 점도 개선해야 한다. 이는 우선 식량안보를 철저히 지켜야 하며, 로컬 푸드와 스마트유통 등의 지역먹거리선순환 체계를 갖춰야 한다. 기후 위기도 전 사회가 함께 노력해야 하는 과제다.
<본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