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사 서평
한국 국토 공간구조의 과거·현재·미래에 대한 명료한 통찰이 돋보이는 저술
이명박 정부에서 지역발전위원장을 지낸 최상철(2007: 95~96의 비판은 더 강력하다. 그는 “‘지역균형발전’이란 실상은? 허구다. 모든 지역에 같은 규모와 같은 수의 건물을 짓는 것이 균형이라면 그러한 균형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바람직하지도 않다. 올바른 정책은 ‘발전 균형’이다. 각 지역이 각자의 특성과 장점에 맞게 발전하여 결과적으로 조화와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분권화의 전제는 땅의 균형발전이 아니라 사람의 발전 균형으로 돌아가야 한다._본문 ...
한국 국토 공간구조의 과거·현재·미래에 대한 명료한 통찰이 돋보이는 저술
이명박 정부에서 지역발전위원장을 지낸 최상철(2007: 95~96의 비판은 더 강력하다. 그는 “‘지역균형발전’이란 실상은 허구다. 모든 지역에 같은 규모와 같은 수의 건물을 짓는 것이 균형이라면 그러한 균형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바람직하지도 않다. 올바른 정책은 ‘발전 균형’이다. 각 지역이 각자의 특성과 장점에 맞게 발전하여 결과적으로 조화와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분권화의 전제는 땅의 균형발전이 아니라 사람의 발전 균형으로 돌아가야 한다._본문 중에서
이 책은 ‘한국 국토 공간구조의 형성과 변화’를 다양한 측면에서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뉜다. 먼저 제1부는 한국 국토 공간구조의 형성을 여러 측면에서 다루고 있으며, 제1장 공간구조의 이해, 제2장 한국인의 의식구조와 공간, 제3장 한국의 경제개발 정책, 제4장 한국의 농촌 개발 정책, 제5장 국토종합계획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2부는 최근의 국토 공간 정책을 고찰하고 있는데, 제6장 참여정부의 국가균형발전 정책, 제7장 이명박 정부의 지역발전 정책, 제8장 인구의 변화로 구성되어 있다. 끝으로 제3부는 미래의 국토 공간구조를 모색하고 있으며, 제9장 북한 공간구조의 형성과 전망, 제10장 한반도의 통일, 제11장 동북아시아의 공간구조 변화와 한반도, 제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