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004
일러두기 016
이 책을 보는 방법 017
쓰임말 풀이 018
새의 각 부분 명칭 021
새의 관찰과 식별 방법 022
새들의 학명 030
아비목
아비과
회색머리아비 034
새의 생태와 문화
멸치떼를 따라 몰려다니는 바닷새, 회색머리아비 037
논병아리목
논병아리과
뿔논병아리 038
새의 생태와 문화
장거리 이동을 위해 몸 전체를 바꾸는 검은목논병아리 041
사다새목
가마우지과
민물가마우지 042
새와 사람
민물가마우지 물고기잡이 045
새의 생태와 문화
민물가마우지의 배설물 045
새들이 체내의 수분을 조절하는 능력 045
황새목
백로과
덤불해오라기 046
새의 생태와 문화
먹고, 놀고, 씻고, 잠자기 049
검은댕기해오라기 050
새의 생태와 문화
가짜 먹이로 물고기를 사냥하는 검은댕기해오라기 053
새들의 영리한 먹이 먹기방법과 도구사용 053
흰날개해오라기 054
새와 사람
기후변화가 새들에게 미치는 영향 055
새의 생태와 문화
농민과 새의 아름다운 약속, 생물다양성관리계약 057
황로 058
새의 생태와 문화
전설의 새, 봉황 061
새는 얼마나 다양할까? 061
중대백로 062
새와 사람
고결함의 상징, 백로 065
새의 생태와 문화
조류의 피부 색깔의 변화 065
노랑부리백로 066
새와 사람
노랑부리백로를 위협하는 요인 069
왜가리 070
새의 생태와 문화
조류의 배설(Excretory 073
황새과
황새 074
새와 사람
모성애가 깊고 어미새에게 효도하는 황새 077
새의 생태와 문화
야생 황새의 복원 077
저어새과
저어새 078
새의 생태와 문화
저어새의 멸종위기와 서식지 감소 081
야생동물 멸종위기의 원인 081
따오기 082
새와 사람
농촌의 새 085
새의 생태와 문화
따오기의 복원 085
기러기목
오리과
개리 086
새의 생태와 문화
동
학춤을 추는 두루미, 노랫말에 나오는 뜸부기, 파랑새 등
동서양의 전설과 예술 등 문화에 나타난 새와 학명의 유래도 담았다.
예로부터 십장생 가운데 하나인 두루미는 천년을 산다고 알려졌지만 실제로 수명을 30년으로 추정한다. 두루미는 한자로 학(鶴이라고 하며 암컷과 수컷의 구애행동을 학춤이라고 한다. 이를 보고 영감을 받아 재현해낸 것이 학춤이다. 학춤은 한국을 비롯하여 일본, 고대 터키, 중국, 부탄, 시베리아 등지에서도 다양하게 발달해왔다. 우리나라는 궁중학춤과 동래학춤, 사찰학춤이 알려져 있다. 지은이는 우리 고유의 학춤을 잘 살려 전통문화로 더욱 발전되길 제안하고 있다. 뜸북, 뜸북, 뜸부기 논에서 울고... 한 번쯤 들어본 뜸부기 노래로 뜸부기는 논에서 사는 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논습지에서 살아가는 새였지만 요즘은 보기 어려운 희귀한 새이다. 노래 ‘파랑새요’는 동학농민운동 때부터 불려지던 민요이다. 녹두장군 전봉준을 녹두꽃으로 파랑새는 파란색 이미지가 청나라군대와 연결되어 당시 농민운동의 어려움을 상징하고 있다.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매사냥의 문화와 이집트 파라오의 화신 호루스(매이야기도 빠지지 않고 썼다. 음악과 미술 작품에도 새가 등장할 때가 많다. 베토벤의 ‘전원’교향곡 2악장에 나오는 나이팅게일, 메추라기, 뻐꾸기가 플루트, 클라리넷 등 목관악기로 등장하며 푸치니의 오페라 ‘나비부인’에는 큰까마귀, 라보엠에는 제비의 노래가 나온다. 미국의 재즈 색소폰 연주자인 찰리 버드 파크는 자신의 음악적 여정을 ‘새’가 연주하는 음악으로 생각하여 ‘조류학’이라는 제목으로 작곡도 했다. 우리나라 남도민요 ‘새타령’에는 앵무새, 학두루미, 기러기가 나온다. 그림으로는 프랑스 라스코 동물벽화의 새를 비롯하여 이집트 네페르마트 왕의 무덤에서 나온 기러기 그림이 가장 오래된 채색화이다. 20세기초의 마티스와 피카소도 새를 작품에 많이 표현했다. 우리나라도 고구려 고분벽화에서부터 조선시대 화조도까지 새를 표현한 작품이 많다. 셰익스피어 작품에도 흰점찌르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