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1 『게송품(偈頌品, Sag?tha-Vagga』
해제
제1 「천신(天神 쌍윳따(Deva-Sa?yutta」
제2 「천자(天子 쌍윳따(Devaputta-Sa?yutta」
제3 「꼬쌀라 쌍윳따(Kosala-Sa?yutta」
제4 「마라 쌍윳따(M?ra-Sa?yutta」
제5 「비구니 쌍윳따(Bhikkhun?-Sa?yutta」
제6 「범천(梵天 쌍윳따(Brahma-Sa?yutta」
제7 「바라문(婆羅門 쌍윳따(Br?hma?a-Sa?yutta」
제9 「숲 쌍윳따(Vana-Sa?yutta」
제10 「야차(夜叉 쌍윳따(Yakkha-Sa?yutta」
2 『인연품(因緣品, Nid?na-Vagga』
해제
제12 「인연(因緣 쌍윳따(Nid?na-Sa?yutta」
제13 「이해(理解 쌍윳따(Abhisamaya-Sa?yutta」
제14 「계(界 쌍윳따(Dh?tu-Sa?yutta」
제15 「무시이래(無始以來 쌍윳따(Anamatagga-Sa?yutta」
제16 「깟싸빠 쌍윳따(Kassapa-Sa?yutta」
제17 「재물과 공경 쌍윳따(L?bhasakk?ra-Sa?yutta」
제18 「라훌라 쌍윳따(R?hula-Sa?yutta」
3 『온품(蘊品, Khandha-Vagga』
해제
제22 「온(蘊 쌍윳따(Khandha-Sa?yutta」
제23 「라다 쌍윳따(R?dha-Sa?yutta」
제24 「견해(見解 쌍윳따(Di??hi-Sa?yutta」
제25 「들어감 쌍윳따(Okkantika-Sa?yutta」
제26 「나타남 쌍윳따(Upp?da-Sa?yutta」
제27 「더러운 때 쌍윳따(Kilesa-Sa?yutta」
제28 「싸리뿟따 쌍윳따(S?riputta-Sa?yutta」
4 『입처품(入處品, ?yatana-Vagga』
해제
제35 「6입처(六入處 쌍윳따(Sa??yatana-Sa?yutta」
제36 「느낌[受] 쌍윳따(Vedan?-Sa?yutta」
제42 「촌장(村長 쌍윳따(G?ma?i-Sa?yutta」
제43
불교 교리를 이해한 만큼
수행 실천의 힘도 커진다
『쌍윳따 니까야』의 특징은 짧은 내용의 경들을 주제별로 묶어서 편집한 데 있다. 여기에서 주제의 핵심은 교학과 수행이다. 교학은 온(蘊, Khandha·처(處, ?yatana·계(界, Dh?tu·연기(緣起, pa?iccasamupp?da가 중심이고, 수행은 37도품(道品이 중심이다. 이 바탕에는 4성제와 12연기가 있고, 무상(無常·고(苦·무아(無我를 통찰하도록 우리를 이끈다. 이러한 교학의 바른 이해와 믿음 없이 불교 수행을 하는 것은 어두운 숲길을 등불 없이 걷는 것과 마찬가지다.
『쌍윳따 니까야』에는 총 2,889개의 경이 담겨 있다. ‘쌍윳따’라는 말이 ‘주제의 묶음’을 의미하듯이, 이 경들은 총 56개의 쌍윳따로 분류되며, 이는 다시 5개의 큰 장(章으로 나뉜다. 장은 빨리어로 ‘왁가(vagga’라고 불리는데, 흔히 ‘품(品’으로 한역된다. 따라서 『쌍윳따 니까야』는 5왁가, 56쌍윳따, 2,889개의 경으로 이루어졌으며, 천신(天神을 포함한 다양한 인물들이 등장하여 붓다에게 가르침을 청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이 책은 이 가운데 32개의 핵심 쌍윳따를 선정하고, 500여 개의 경을 정선(精選하여 402개의 경으로 취합, 정리했다.
그 구성을 살펴보면 제1장 『게송품(偈頌品, Sag?tha-Vagga』 111경, 제2장 『인연품(因緣品, Nid?na-Vagga』 97경, 제3장 『온품(蘊品, Khandha-Vagga』 81경, 제4장 『입처품(入處品, ?yatana-Vagga』 93경, 제5장 『대품(大品, Mah?-Vagga』 20경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장 『게송품』에서는 당시의 종교적 신념 속에 존재하는 여러 천신과 왕, 바라문 등 많은 인물이 등장하여 불법을 찬탄하면서 문답 형식을 통해 불교를 다른 사상과 비교하여 보여준다.
제2장 『인연품』에서는 붓다의 깨달음의 핵심인 연기(緣起를 주제로 하는 경들을 통해서 연기를 다각적으로 설명한다.
제3장 『온품』에서는 5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