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제1장 신라의 ‘교사’들
개념의 변화는 문명 변화의 표지다
‘師’의 글자의 역사
관직의 우두머리, 군사
주자의 군사 이념
성인으로서의 혁거세
문명의 전달자로서 임금
남해 차차웅은 무당 혹은 스승
정치교육의 담당자로서 임금
또 하나의 교사의 기원
무와 제사장
무의 역할과 교육적 의의
천문박사나 사천박사와 일자와 일관
서로 가르치고 배우는 화랑과 낭도
무와 승
문자문명의 수입자
원광과 이후 고승 대덕의 강경 활동
학교교육의 교사, 박사와 조교
교육문명사에서 본 신라사회의 ‘교사’들
‘포스트-포스트모더니즘시대’의 교사
제2장 신라의 ‘학생’들
한국문화에서 학생의 의미
본능으로서의 배움
교화의 대상으로서 백성
원화의 무리는 신라 최초의 학생 집단인가
화랑도에서 승려와 낭도
불교에서의 학생: 초전 당시의 상황
불교에서의 학생: 천축과 중국 유학승
군인 신분의 효자 학생, 진정법사
물고기와 자라, 돌을 ‘학생’으로 삼은 고승들
학교의 설립과 학생 개념의 유래
신라사회에서 공적 ‘학생’ 탄생의 과정
국학의 학생
열두 살의 조기 유학자, 최치원
‘학생’ 탄생의 의미: 교양인인가, 기능인인가
교육문명사에서 본 신라의 ‘학생’들
제3장 7세기 신라의 교육사상가
원효의 교육사상과 교육실천
의상의 교육사상과 교육실천
설총의 교육사상과 교육실천
제4장 신라의 교구, 교육미디어 그리고 교육문명
그림 미디어로서의 암각화
구술 미디어로서의 신화와 설화 그리고 노래
문자 미디어로서의 책
제5장 신라인의 교육공간 디자인
신화 교육의 공간으로서의 반구대와 천전리, 그리고 나정
화랑도의 교육공간으로서의 유오지
복합적 교화공간으로서의 불교의 사원
유교의 전문 교육공간으로서의 국학
제6장 신라인의 화랑도 교육
화랑제도와 화랑사상
화랑도와 유불도 삼교
통일 전의 화랑도의 행동특성
통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