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며_변화의 시기, 부모들에게 보내는 신호
1부 코로나19와 부모, 우리는 무엇이 불안한 걸까?
1장. 달라진 환경, 달라진 부모 마음
2장. 온라인 수업이 채워 주지 못하는 마음의 빈틈
3장. K-방역이 드러낸 한국인의 마음 구조
4장. 불안이 일으키는 양육의 실수들
2부 코로나19 이후를 준비하려면
5장. 아이들이 맞이할 미래, 무엇이 바뀔까?
6장. 앞으로 아이들에게 필요한 감정 능력
7장. 부모가 마련해 주어야 할 마음의 환경
8장. 불안의 시대에 필요한 부모의 마음가짐
나가며_불안보다 호기심으로
코로나19가 만든
부모 마음의 불안, 아이 마음의 빈틈
코로나19가 처음 시작된 2020년 봄, 진료실에서 저자 하지현은 코로나19가 ‘반가운’ 마음마저 들었다. 사회적 거리 두기로 대면 수업이 중단되자 진료실을 주로 찾는 ‘민감한 성향’의 아이들이 한결 편안해졌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것도 잠시, 2학기에도 학교에 제대로 가지 못하자 아이들의 말이 달라지기 시작했고, 몇 년 만에 다시 찾아오는 환자도 늘어났다. 코로나19로 아이들의 마음 발달에 적신호가 켜졌다는 것을 직감했다.
코로나19는 아이들의 마음 발달에 어떤 빈틈을 만들고 있을까? 이 빈틈은 어떻게 메울 수 있을까? 이 질문에 답하기 전에 저자는 우선 다양한 측면에서 이 위기의 시대를 점검한다. 변화의 시대에는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그 윤곽을 그리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우선 살피는 것은 코로나19가 부모의 마음에 가져온 불안이다. 코로나19가 지속되면서 불안해하는 부모들이 많은데, 정확히 무엇을 불안해하는 것인지 불안의 실체를 명확하게 파악한다. 그리고 학교에 가지 못하는 아이들의 감정 발달 상황을 꼼꼼하게 짚는다. 선생님을 만나고 친구들과 부대끼며 키워야 하는 사회성이나 공감 능력, 외적 동기 부여와 규율의 내재화가 이루어지지 못함을 짚는다.
그 뒤에는 방역 과정에서 드러난, 교육과 양육에 대한 한국인의 마음 구조에 대한 분석이 이어진다. 다들 코로나19가 어서 끝나기를 바라지만, 그냥 코로나19 이전으로 돌아가기만 하면 되는 것일까? K-방역을 성공적으로 이끈 지나친 규범 사회, 순응적인 사회, 평균 지향적인 태도 등은 미래 사회를 살아갈 아이들에게 독이 될 수 있기에, 저자는 이를 재고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점검하는 것은 불안 때문에 생기는 부모의 딜레마, 실수들이다. 본래 부모는 자식을 키우면서 불안하지만, 코로나19로 인해 그 불안이 더욱 커지고 있다. ‘친구 같은 부모’의 위험성, 집중 육아와 과잉 육아의 문제 등 요즘 부모라면 한번쯤 고민해 볼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