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설 5
권1
1-1 경술과 문장 29
1-2 우리나라의 문장가 30
1-3 우리나라의 서예가 33
1-4 우리나라의 화가 36
1-5 우리나라의 음악가 37
1-6 우리나라의 역대 도읍지 41
1-7 한양의 명승지 44
1-8 한양의 풍속과 세태 48
1-9 처용놀이의 유래와 방법 51
1-10 화려하고 신기한 불꽃놀이 53
1-11 악귀 쫓는 의식, 구나희 55
1-12 불교의 흥성과 쇠락 56
1-13 사헌부와 사간원의 위계 57
1-14 사헌부의 혹독한 신참례 60
1-15 신선이라 불린 승정원 승지들 62
1-16 역대 중국 사신의 인품과 학식 63
권 2
2?1 문사의 전성시대, 집현전과 홍문관 87
2?2 국가의 공도, 과거제도 88
2?3 문종의 성품과 학문 91
2?4 인재가 모인 삼관의 독특한 문화 94
2?5 성균관의 역할과 규모 96
2?6 성균관의 고집불통 선생들 97
2?7 문벌가, 광주 이씨와 창녕 성씨 99
2?8 승지를 배출한 명당, 남대문 밖 100
2?9 신라 천천정의 고사와 약밥의 유래 101
2?10 일 년의 명절 102
2?11 사신을 전송하는 풍습과 익성군 홍응의 풍모 106
2?12 부귀영화를 실컷 누린 홍윤성 106
2?13 성간의 성품과 예지력 108
2?14 입담 좋은 선비 최호 108
2?15 백중날의 버섯 중독사건 111
2?16 안평대군의 재예와 교유 112
2?17 불행 속에서도 주색으로 삶을 즐긴 삼로 114
2?18 김뉴의 풍정과 질병 114
2?19 음식남녀, 욕망을 부정한 사람들 116
2?20 성종 대의 서책 간행 117
2-21 능실과 재사 118
2-22 음률에 밝아야 하는 장악원 관리 118
2-23 도성 거리에서 불경을 외우도록 허가한 세조 119
2-24 호문군주 성종의 돈독한 뜻과 행실 120
2-25 궁중의 권초례 122
2-26 소격서의 의례 123
2-27 장수를 기원하는 요령 124
2-28
출판사 서평
엘리트 선비 성현이 그린 조선 전기의 생생한 민낯
새로운 문명의 활기가 넘치는 자유분방한 조선 전기를 만나다
1. 지금까지 알지 못했던 조선 전기의 본모습을 담은 고전
- 이 책의 특징 1
우리는? 어떤 조선을 알고 있을까? ‘조선’이라는 말을 들었을 때 연상되는 이미지는 성리학적 가치를 받드는 유교 사회다. 성리학 이념을 시험하는 과거제도를 통한 국가 관리 선발, 장남을 중심으로 가족 내의 위계질서를 세우는 가부장제 등이 대표적인 모습이다. 하지만 이러한 모습이 과연 조선시대 전체를 관통할까? 성리학이 국가를 지배하는 이...
엘리트 선비 성현이 그린 조선 전기의 생생한 민낯
새로운 문명의 활기가 넘치는 자유분방한 조선 전기를 만나다
1. 지금까지 알지 못했던 조선 전기의 본모습을 담은 고전
- 이 책의 특징 1
우리는 어떤 조선을 알고 있을까? ‘조선’이라는 말을 들었을 때 연상되는 이미지는 성리학적 가치를 받드는 유교 사회다. 성리학 이념을 시험하는 과거제도를 통한 국가 관리 선발, 장남을 중심으로 가족 내의 위계질서를 세우는 가부장제 등이 대표적인 모습이다. 하지만 이러한 모습이 과연 조선시대 전체를 관통할까? 성리학이 국가를 지배하는 이데올로기로서 권위와 체계를 갖추게 된 시기는 17세기 즈음이다. 그 전에는 아들과 딸이 돌아가며 제사를 지내는 윤회봉사, 여자가 친정에 머물며 사는 남귀여가 등 우리가 상상하기 어려운 조선시대가 존재했다. 실제로 조선 전기는 다양성과 역동성을 가지고 있는 문명의 전환기였다. 여러 사상, 사유 체계, 종교 들이 공존하고 있었고, 새로운 세상을 꿈꾸는 사람들의 활기가 넘치는 사회였다. 우리는 ‘성리학 시대’라는 조선 후기의 프레임이나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이 같은 조선 전기의 본모습을 직시할 필요가 있다.
이 책 《용재총화(?齋叢話》는 우리가 몰랐던 조선 전기의 생생한 모습을 보여주는 책이다. 조선 전기의 학자이자 문학가였던 성현(成俔, 1439~1504은 인물, 역사, 문학, 제도, 풍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