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와 자본주의의 관계에 관해서는 막스 베버의 『프로테스탄티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이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R. H. 토니는 이와 정반대의 주장을 펼친다. 그는 막스 베버 저서의 영문판 서문을 썼는데, 이 자리에서 베버를 혹독하게 비판한다. 종교개혁 정신이 자본주의 형성에 영향을 끼친 것이 아니라 자본주의가 기독교 윤리를 훼손시켰다는 것이다.
R. H. 토니는 오염된 기독교 도덕을 회복시킴으로써 사회를 탐욕에서 건져낼 수 있다고 보았다. 그는 현대 자본주의 산업사회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시킬 원동력을 도덕과 그 근원의 기독교 본연의 사랑의 정신에서 구한다. 이러한 토니 사상의 일관성과 강직함과 순결성을 이 책을 통해 만날 수 있을 것이다.
책 속으로
현대 산업사회 최고의 악은 빈곤이 아니다. 그것은 자유의 부재, 즉 자기 주도의 기회와 인간 삶의 물질적 조건들을 통제할 수 있는 기회의 부재이다. 이것이 빈곤을 낳는데, 희망 없음, 무책임, 무모함을 낳기 때문이다. 그것이 바로 산업혁명과 인클로저의 교훈이다. 사람들에게 가난하지 않을 수 있는 의지를 주기 위해서는 우리가 무엇보다도 그들의 삶이 의존하는 물질적 조건들을 통제할 수 있는 힘을 그들에게 주어야, 즉 그들을 자유롭게 해주어야 한다. (1. 비망록, 60쪽
재산의 향유와 산업의 방향은 사회적 명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고 생각되는데, 이것들은 사회의 목적에 대한 서비스의 성공에 의해 평가되는 기능이 아니라 그 자체의 효력을 지키는 권리로 간주되기 때문이다. 오늘날 이 원칙은 지적으로는 의심받는다 할지라도 여전히 사회조직
의 실제적 기초다. 이 원칙이 부적절하다는 것을 가장 일관되게 보여주는 증거에조차 이것이 얼마나 느리게 굴복하는지는 전시 기간에 경제행위에 부과되는 규제에 대해 재계의 우두머리들이 취한 태도에 나타난다. (2. 탐욕사회, 144쪽
그의 결론은 계몽적이다. 그러나 아마도 그것은 한 가지 이상의 해석을 허용할 수 있다고 여겨질 수 있다. 행위와 반응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