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롤로그 담장 밖에서 본 캠퍼스
제1장 그대, 찬란하게 빛나야 한다
학생이 빛나야 한다! | 어머니의 간절함에 화답하라 | 왜 대학을 다니는가? | 대학이 아니라 전공이 본질 | 가장 나쁜 대학은 어떤 모습인가?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교육혁신은?
제2장 위기, 혁신의 본질적 동력
고통 없이 세상을 밝힐 수 없다! | 벼랑 끝에 섰었다! | 잃어버린 20년… 그리고 글로벌 목표 | 혁신의 연속성에 초점을 맞춘다 | 우리의 결정은 누가 검증하는가? | 다이버시티, 위기 돌파의 키워드
제3장 긍정, 다이버시티가 유일한 대안
이대로는 서울대를 이길 수 없다 | 성균 Agency, 다이버시티를 관리하고 지원한다 | 인터랙션, 지식 큐레이터의 필수 조건 | 글로벌 인플루언서(Influencer를 키운다 | GVR+(Global Value Researcher Plus 시스템이 경쟁력
제4장 성균, 학생성공의 궁극적 목표
학생성공, 평범하지만 탁월한 미션 | F 학점 받기 어려운 하버드 대학생 | 미래가치, 사회적 균형에 기여한다 | 인성, 성대의 영원한 필수과목 | 스쿠(SKKU 분석으로 성균을 점검한다
제5장 4배(拜, 개방형 융합교육의 플랫폼
순혈주의에 집착하지 않는다 | B급 이상의 교육을 사수한다 | AI 시대의 융합교육 플랫폼을 제공한다 | 융복합 지원 실적을 평가할 타이밍 | 전공학과의 발전계획을 롤링(Rolling한다
제6장 연구, BK21 4단계의 철학 선도
연구혁신의 1등 공신, BK사업 | 미래가치가 있는 원석을 찾아라 | 혁신인재, 멋있지만 까다로운 도전 | 일류사회의 거대 난제에 도전한다 | 학부생도 연구를 하는 대학
제7장 협업, 포부의 생태계 설계
드림성공률(Dream Ratio을 측정해야 한다 | 미래가치 생태계를 구축한다는 것 | 미래의 영웅들에 500억 원을 투자하다 | 포부의 다리(Bridge of Aspiration를 꿈꾼다 | 신기술 테스트베드로 오픈이노베이션을 주도한다
제8장
“캠퍼스는 삶을 가르치는 희망의 공간이다”
성균관대 혁신사례를 통해 그려보는 미래 대학의 청사진
대학교육의 위기, 무엇이 문제인가?
한국 대학이 위기에 처했다. 삶의 목적을 결정하는 공간이자 사회와의 접점에서 글로벌 인재를 양성하고 비전을 제시해야 할 대학이 배치표와 서열에 따라 등급이 매겨지고 대학 이름으로만 평가받는 안타까운 일들이 벌어지고 있다. 그에 따라 지방의 많은 대학에서 미달 사태를 체험하고 있으며, 교수들은 학생 모집을 위해서 매주 대책회의를 하는 상황이다. 전 세계적으로 취업문도 급격하게 좁아지고 있는 시대에 COVID-19로 인한 혼란까지 겹친 지금, 진정한 교육 혁신을 위해 대학이 나아가야 할 방향은 무엇일까? 《다이버시티》는 이런 의문에 대한 구체적인 해법과 비전을 제시하는 책이다.
대한민국의 10대는 스무 살이 되기 전에 잔인한 선택의 문제에 부딪힌다. 수능시험 당일의 컨디션과 시험지와의 궁합에 따라 점수가 정해지고 나면, 최대한 점수에 손해 보지 않는 선에서 배치표와 대학 랭킹에 따라 입학 여부를 결정한다. 대학에서 무엇을 가르치는지, 교통은 어떤지, 시설과 선생님들은 어떤지, 어떤 연구를 하는지, 졸업생은 어디로 진출하는지 등을 다각도로 모색하는 과정은 생략되기 쉽다. 정교한 잣대로 줄을 세우다 보니 입학도 전에 입시 과정에서 지쳐 학생들이 기를 펴지 못하게 되는 일이 벌어진다. 수능제도의 혁신이 절실히 필요한 대목이다.
대학은 지식과 포부의 플랫폼이 되어야 한다
행복한 대학의 본질은 무엇일까? 대학은 글로벌 인플루언서를 배출하는 행복한 공간이 되어야 한다. 교수는 단순히 지식 전달자에서 라이프 코치 및 지식 큐레이터로 진화해야 한다. 학생이 훌륭한 교육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고등학교와 대학이 다른 점은 지식을 외우고 이해하는 데 머무는 것이 아니라 문제를 정의하고 해결하는 데까지 나아간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마땅히 배움과 연구가 공존하는 캠퍼스를 만들어야 한다. 이를 위해 《다이버시티》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