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사|고려시대 역사.문화의 다원성과 통합성, 개방성을 찾아서
총론1 관계와 소통, 통합과 자율의 다양성|홍영의
1. 다양한 개성이 존중되는 다원화의 시대
2. 다원과 일통의 공존, 자기 질서의 구축
3. 경쟁과 조절의 이상향, 신분의 예치질서
4. 관계와 소통을 통한 자율과 통합:중앙과 지방의 균형 네트워크
총론2 고려 다원사회의 형성과 기원|박종기
1. 머리말
2. 다원사회 형성의 대외적 조건-이민족 유입과 주민구성의 다원성
3. 다원사회 형성의 대내적 조건
4. 다원사회의 이념적 기초-일통의식(一統意識
5. 훈요십조에 담긴 다원주의 이념
6. 맺음말
제1부 다원성과 지역성
제1장 고려전기 지방지배체제의 다원성과 계서성|채웅석
1. 머리말
2. 지방지배체제 성립의 토대:지방사회의 자율성과 지역적 다양성
3. 지방제도의 다원적.계서적 편성
4. 지방지배 권력의 다원적 구성
5. 맺음말
제2장 고려중기 삼국부흥운동의 ‘지역성’과 ‘저항성’|신안식
1. 머리말
2. 부흥운동의 지역성
3. 부흥운동의 저항성
4. 맺음말
제2부 소통과 관계망
제1장 고려시대 지방과 지방 사람에 대한 관인층의 관계 양상|서성호
1. 머리말
2. 지방관과 지방사회, 그리고 임지 주민
3. 관인과 지방 사람의 인간관계
4. 관인의 지방 퇴거지(退居地와 장지(葬地
5. 맺음말
제2장 나말여초 금석문에 나타난 불교사원과 승려의 교류와 소통|한준수
1. 머리말
2. 선승의 활동과 사원의 확산
3. 태조의 승려 결연과 사원의 창건
4. 고승의 주석과 지방사회의 수렴
5. 맺음말
제3부 유통과 확산
제1장 고려전기 분묘 출토 자기해무리굽완의 확산과 소비양태|한혜선
1. 머리말
2.
2018년 고려 건국 1100주년을 맞아, 많은 역사학회와 박물관 등에서 각종 기념학술발표회나 유물전시회를 개최하였다. 이에 따라 한국사 연구.교육에서 그동안 존재감이 미미했던 고려시대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연구가 활성화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더욱이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 및 통일을 위한 판문점선언’이 이루어짐으로써 한반도의 새로운 역사 전개에 대한 기대가 커졌다. 이대로 평화.협력관계가 발전된다면 고려 역사 연구에도 매우 긍정적인 영향이 미칠 것이다. 고려의 수도 개경을 비롯하여 북한 땅에 있는 많은 유적들은 물론 비무장지대 안에 산재한 유적들에 대한 공동 조사.발굴 및 연구의 희망이 현실화 될 수 있다.
고려시대사 연구는 1980년대까지 사회구성체적 성격이나 지배층의 성격 등을 둘러싸고 활발하게 논쟁이 이루어진 이후 개별적이고 세분화된 연구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다. 그러다가 21세기에 새로운 역사적 전환을 맞이하여 거시적인 관점에서 새롭게 고려사회를 바라보는 연구가 매우 절실해졌다. 가톨릭대학교 고려다원사회연구소에서는 그런 새로운 관점에서 바라보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고, 2014년 11월부터 3년에 걸쳐 ‘고려시대 역사.문화의 다원성과 통합성’이라는 주제로 연구를 진행한 결과물 중 두 번째가 이 《고려의 중앙과 지방의 네크워크》이다.
이 책에서 고려의 중앙과 지방의 네트워크는 6가지 측면에서 연구돠었다. 우선 고려사회의 ‘다원사회론’이 제기된 연유와 논리를 정리하였고(홍영의;박종기, 고려 중앙정부의 지방 지배체제가 갖고 있는 성격과 의미를 지방제도의 편성, 지방 지배권력 구성을 통해(채웅석 중앙과 지역의 상호 갈등에 따른 삼국부흥운동과 같은 저항성을 통해 지역성의 표출 방식(신안식, 지방 통치를 위해 왕명을 받고 파견된 지방관을 포함한 관료층이 지방사회 구성원과 공적.사적으로 관계를 가지고 영향을 주고받으며 교류.소통하는 양상을 지방을 매개로 한 관료(서성호와 승려들 사이의 관계망, 즉, 지방사회의 수렴과 교류의 매개체로서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