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근현대문학의 이해 . 5
1. 메이지시대 초기 (1868~1885
메이지시대 초기의 개괄·17
실용학문을 익히는 것만이 개인과 국가의 독립을 유지할 수 있다
- 후쿠자와 유키치 『학문의 권장』·24
과도기적 계몽기의 번역문학과 정치소설- 도카이 산시 『미인의 기구한 운명』·29
2. 메이지시대 후기 (1886~1912
메이지시대의 전개와 후기 문학의 특징·37
근대문학의 새벽종 - 쓰보우치 쇼요 『소설신수』·42
사회 논리에 의해 배척된 한 청년의 신념 - 후타바테이 시메이 『뜬구름』·47
사랑과 돈의 함수관계 - 오자키 고요 『곤지키야샤』·52
메이지시대 지식인 청년의 고뇌 - 모리 오가이 『무희』·56
시인은 내부 생명의 관찰자이자 전달자이다 - 기타무라 도코쿠 『내부생명론』·60
유곽마을 소년소녀의 아련한 첫사랑 - 히구치 이치요 『키재기』·64
‘가정의 아버지’에서 ‘이념의 아버지’로- 시마자키 도손 『파계』·69
사회의 관습에 묶인 한 중년 작가의 진실 - 다야마 가타이 『이불』·73
봄새가 된 백치소년 로쿠조 - 구니키다 돗포 『봄새』·77
3. 다이쇼시대 (1912~1926
다이쇼시대와 문학·85
반자연주의와 탐미파 문학·89
문명의 발달은 곧 문명의 퇴화다 - 나가이 가후 『솜씨겨루기』·94
탐미, 여성숭배의 극치 - 다니자키 준이치로 『슌킨이야기』·98
사랑과 우정의 이상적 형태 - 무샤노코지 사네아쓰 『우정』·103
당신이 할아버지와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자식이라면 - 시가 나오야 『암야행로』·108
본능에 충실했던 한 여자의 비극 - 아리시마 다케오 『어떤 여자』·112
인간 에고이즘의 날카로운 해부 - 아쿠타가와 류노스케 『라쇼몬』·117
위선과 고독에 미친 폭군의 일생 - 기쿠치 간 『다다나오경 행장기』·122
일본 근대문학의 선구자 모리 오가이·127
나쓰메 소세키의 드라마틱한 생애·133
국민작가 나쓰메 소세키·140
4. 쇼
<일본문화총서> 9권 시리즈 중 5권, 문학2 근현대문학편. 키워드 60개를 통하여 일본의 근현대문학을 들여다 보았다.
섬나라 일본은 1868년 메이지 신정부가 탄생한 후, 장기간의 쇄국정치를 끝내고 외국에 문호를 개방하였다. 일본은 극히 짧은 기간에 서구 열강과 더불어 열강국가의 대열에 설 수 있는 자본주의 국가가 되었고, 이 과정을 일본역사에 있어서 근대라고 한다. 이러한 근대화의 과정에서 일본은 문명개화를 표어로 내세워 서양의 사상과 문화에 강한 영향을 받게 됨과 동시에 갑작스런 변화에 따른 무리와 모순도 발생했다. 문학 또한 근대화의 영향 아래 여러 가지 형태로 탈바꿈하면서 근대적 조건을 갖추어갔다. 근대 시민사회의 도래와 함께 봉건사회가 기반인 근세문학이 근대문학의 성격을 띠게 되면서 근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제반 문제를 추구하게 되었다.
문학이란 단어는 처음에는 유학을 중심으로 하는 무사계급의 교양 전반을 나타내는 말이었지만, 차츰 ‘언어예술’이라는 근대적 개념으로 바뀌었고, 소설이 근대문학의 중심이 되었다. 문학사는 역사의 시대구분에 맞추어 그 범위를 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여기서는 소설의 흐름을 메이지시대 전기, 메이지시대 후기, 다이쇼시대, 쇼와시대 전기에서 전전 기간, 전후에서 현대까지 크게 다섯 기로 나누었다.
메이지(明治 전기에는 서양화의 물결을 타고 계몽사상가나 선각자들에 의한 외국문학의 소개가 처음 등장했다. 메이지 후반기에 이르러 비로소 일본 근대문학이 전개된다. 다이쇼(大正 시대에 이르러 추한 면을 들추어내는 것이 진실이라고 생각하는 자연주의에 반발하는 반(反자연주의가 등장한다. 이들은 다양한 형태로 문학적 개성을 피워나갔다. 쇼와(昭和 시대가 개막되고, 제1차 세계대전을 전후해서 프롤레타리아 운동이 전개되었다. 눈앞에 먹을 것이 없는데, 인간의 고귀성, 미, 이지를 찾는 것은 부르주아들의 문학이라고 비난하면서 노동자들을 위한 문학의 필요성을 강조한 것이 프롤레타리아 문학이다. 제2차 세계대전 후는 문학운동이 성립하지 않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