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 중국계 이주민 이해의 첫걸음
연구개요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방법
1부 중국계 이주민의 문화적응 생애담
1. 중국계 이주민과 문화적응
1 중국계 이주민의 유형별 문화적응 양상
2 전체 연구 참여자의 특성
2. 재한 중국계 결혼이주여성
1 연구 참여자 08(결혼이주여성
2 연구 참여자 11(결혼이주여성
3 연구 참여자 16(결혼이주여성
4 연구 참여자 22(결혼이주여성
5 연구 참여자 34(결혼이주여성
3. 재한 중국인 노동자
1 연구 참여자 02(노동자
2 연구 참여자 11(노동자
4. 재한 중국인 유학생
1 연구 참여자 05(유학생
2 연구 참여자 08(유학생
3 연구 참여자 10(유학생
2부 중국계 이주민의 생활세계 사례: 인지정서적 영역
5. 진로 영역: 결혼이주민의 전환학습을 통한 진로개발 경험
1 들어가기
2 결혼이주민의 진로지원 정책
3 전환학습이론
4 중국계 결혼이주민의 사례
5 진로개발 경험에 나타난 전환학습
6 나가기
6. 언어 영역: 결혼이주민 자녀의 이중언어 교육
1 들어가기
2 이중언어 교육 현황
3 자녀의 이중언어 교육 경험
4 나가기
7. 문화 영역: 결혼이주여성의 춘절문화와 한국의 설날문화 비교
1 들어가기
2 중국계 결혼이주여성의 현황과 중국의 춘절
3 연구 동향
4 연구 방법
5 연구결과
6 나가기
8. 여가 영역: 유학생의 사회통합을 위한 여가 경험의 의미
1 들어가기
2 중국 출신 유학생의 한국 생활
3 문화적응과 여가
4 유학생의 문화적응 경험 이야기
5
“중국계 이주민 이해의 첫걸음”
이 책은 중국계 이주민의 집단적 특성이나 개별적 내러티브를 이해하여 우리의 문화 다양성을 제고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다문화 구성원을 하나의 집단으로 바라보는 다문화사회에 대한 기존의 관점을 넘어 그들의 개별적·집단적 생활세계에 대해 이해의 지평을 넓혀가야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다문화사회에 대한 관점의 전환이 우리 사회를 진정한 사회통합의 길로 들어서도록 해줄 것이라고 믿는다. 그 이유는 다문화 구성원이 만들어나가고 있는 생활세계가 이주에 의해 만들어지는 문화 다양성으로부터 파생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사회통합정책은 이러한 상호문화적 의사소통의 공간 형성을 목표로 해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주류사회로부터 각종 사회제도에서 소외되고 타자화되어 있는 이주민의 근원적인 삶과 고통을 이해하고, 더 나아가 이들 역시 우리 사회의 일원으로서 공존할 수 있도록 하여, 미래 지속 가능한 사회를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 사회통합 모형을 구축한다. 특히 이 모형에서는 이주민의 생애사 이해를 넘어 각 생활세계에서의 문화적응이 어떠한지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한다.
- 서문 중에서
저자 소개
김영순(金永洵 kimysoon@inha.ac.kr
한국연구재단 사회통합 총서 연구책임자
인하대학교 사회교육과 교수
인하대학교 아시아다문화융합연구소 소장
조영철(曺永喆 tem2000@hanmail.net
한국연구재단 사회통합 총서 전임연구교수
인하대학교 아시아다문화융합연구소 연구교수
김정희(金正喜 lovebird0110@hanmail.net
한국연구재단 사회통합 총서 전임연구원
인하대학교 아시아다문화융합연구소 전임연구원
정지현(鄭智賢 oxy59j@hanmail.net
한국연구재단 사회통합 총서 공동연구원
인하대학교 언어교육원 강사
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