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을 시작하며
프롤로그 - 잊을 수 없는 고국의 추억
1장 교과서 삽화를 그리던 연해주의 조선 소년
유랑촌에서 유복자로 태어나다
천부적 재능, 예고된 화가의 길
주독야화
2장 홀로서기를 배운 유학 시절
스베르들롭스크로 유학을 떠나다
중앙아시아 강제 이주 사건
고난의 세월
유학이 가져온 행운과 기회
3장 소련의 심장부에서 예술가의 길로
쉬운 것에서 어려운 것으로
가족 상봉과 레닌그라드 봉쇄
사랑의 결실을 맺다
변월룡이 존경한 교수들
졸업작품 <조선의 어부들>
레핀미술대학의 교수가 되다
4장 꿈에 그리던 고국의 품에 안기다
동경하던 고국으로
평양 시절
평양미술대학 학장 겸 고문으로 추대되다
5장 북한미술계의 거대한 산이 되다
송정리 시절의 평양미술대학
동양화에 관심을 돌리다
모든 학과에 영향을 미치다
데생의 중요성
한.중.일 서양화 도입에 관해
한국 구상미술의 현주소
변월룡의 위상
6장 지란지교를 나눈 북한의 화가들
세 사람의 벗
화가 문학수
화가 정관철
북한미술계의 삼두마차가 되다
또 한 명의 학장 김주경
과로로 쓰러지다
북한으로 온 아내
고국을 떠나오던 날의 풍경
7장 고국으로 돌아갈 날만을 기다리며
귀국
의혹
동양화 연구에 몰두하다
소련의 한인 화가
고국을 생각하며
갈망
8장 역사의 소용돌이 속에 꺾인 꿈
북한 당국의 ‘귀화’ 권유
개인 화실을 얻다
레닌그라드에서 다시 만난 정상진
소련 대사 이상조에게 희망을 걸다
9장 그리움을 그림에 담다
그림에 마음을 담다
동판화 제작에 전념하다
해외동포 고국방문단
1960년 새해를 맞다
정체성을 찾아 연해주로
연해주에서 탄생한 그림들
10장 한국미술사의 위대한 거장
얻은 것과 잃은 것
예술 기행을 떠나다
사랑하는 가족
교수로서의 일상
화가로서의 삶
다양한 장르의 인물화
정관철과 북한미술
11장 타국에서 큰 별 지다
삶의 황혼기
글을 마치며
변월룡 등장의 의
러시아 레핀미술대학 교수이자 인성과 실력을 겸비한 서양화가
한국인 최초의 미술학 박사이자 이민족 출신이라는 한계를 딛고 무려 35년 동안 러시아 명문 레핀미술대학의 교수직을 맡았던 한국인이 있다. 사실주의 화가 변월룡, 그는 러시아 미술계의 거장으로서 존경과 인정을 받았으나 정작 너무나 사랑했던 조국으로부터는 버림받은 존재였다. 북한에서는 귀화를 거부했다는 이유로 제명되었으며, 남한 미술계에서는 그 존재조차 알지 못했다.
1916년, 이중섭과 같은 해에 태어나 서로 다른 장르에서 미술계의 신화가 될 수 있는 인물이었지만 머나먼 이국땅 러시아에서 작품 활동을 펼쳤기에 잘 알려지지 않았던 천재 화가다. 그는 이주민의 자손으로 연해주에서 태어나 평생을 냉전 시대의 소련 땅에서 살았으나, 죽을 때까지 한글 이름을 고집했고 자신의 그림마다 한글을 새겨 넣었을 정도로 한국인으로서 확고한 정체성을 가지고 있었다.
한국적인 소재인 소나무를 즐겨 그렸고, 한국전쟁 후 포로 교환의 현장에서 역사의 아픔을 기록화로 남겼으며, 수많은 한국인의 인물화를 그렸던 그의 작품 하나하나에는 한국적인 정서가 가득하고 고국에 대한 향수가 진하게 배어 있다. 고국에 대한 애정이 각별했던 변월룡은 북한미술의 초석을 놓는 고문 역할로 1년 3개월 평양을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방문했다. 이후 단 한 번도 다시 가지 못한 고국을 평생 그리워한 나머지, 해마다 수천 킬로미터의 먼 여정을 마다하지 않고 연해주를 찾을 정도였다. 그러나 그 절절한 그리움을 그림으로밖에 담아낼 수 없었던 비운의 천재였다. 유화, 판화, 데생, 수채화, 포스터에서부터 내용으로는 인물화, 풍경화, 전쟁화, 역사화에 이르른다. 또한 동판화와 석판화, 연필화, 파스텔화, 펜화 등 변월룡의 작품은 한 사람이 그린 것이라고는 믿어지지 않을 만큼 방대하고 훌륭하다. 그중 동판화는 변월룡이 생전에 가장 존경했던 화가 렘브란트와 견주어도 손색이 없을 만큼 뛰어나다.
한국미술사의 빈약한 뿌리를 세우고 기틀을 마련한 거장의 귀환
서양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