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 『다문화 생활세계와 사회통합 연구』를 시작하며
연구개요
1부 초국적 이주와 다문화 생활세계
1장. 초국적 이주와 상호문화 이해
1. 전 지구적 현상으로서 초국적 이주
2. 다문화사회와 다문화성
3. 다문화성을 넘어 상호문화성으로
2장. 다문화 생활세계와 이주민의 정체성
1. 다문화 생활세계의 형성
2. 다문화사회와 문화적응
3. 이주민의 정체성 협상
3장. 다문화사회의 이주민 유형
2부 다문화사회와 사회통합
4장. 이주와 다문화사회 형성
1. 다문화사회의 이주 현상
2. 다문화사회의 이주 이론
3. 다문화 공간의 형성과 변천
5장. 사회통합과 사회통합정책 이론
1. 다문화사회와 사회통합
2. 사회통합정책 이론
3. 국내의 사회통합정책
3부 국외의 사회통합정책 사례
6장. 북미의 사회통합정책
1. 미국
2. 캐나다
7장. 유럽의 사회통합정책
1. 영국
2. 독일
3. 프랑스
8장. 아시아의 사회통합정책
1. 중국
2. 일본
3. 베트남
4. 우즈베키스탄
4부 사회통합정책 모형
9장. 생활세계 기반 사회통합정책 모형
1. 인지정서적 사회통합정책 모형
2. 사회제도적 사회통합정책 모형
10장. 이주민 생애사 기반 문화적응 연구방법
1. 생애사 연구의 필요성
2. 생애사 서술 모형의 필요성
3. 생애사 서술 모형의 실제
11장. 다문화 생활세계 디지털 아카이브
1. 서론
2. 디지털 아카이브와 에스노그래피
3.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요건 및 과정
4. 연구절차와 수집자료
“지속 가능한 다문화사회를 위한 사회통합 연구”
현재 한국 사회에서 실시되고 있는 사회통합정책과 사회통합프로그램 운영은 결혼이민자에게 치중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이민자의 국가별 또는 문화별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일방적인 형태로 진행되고 있는 현실이다. 따라서 한국 사회는 주류사회 중심의 일방향적이고 일시적인 동화 형태의 사회통합이 아니라, 이민자를 정주민과 동일한 위치에서 공존과 상호문화적 소통이 가능한 다문화사회를 만들어나가기 위한 양방향적 사회통합정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를 위해 이주배경과 한국 사회에서의 적응 양상에 따라 유형을 구분하여 개인 및 집단별 맞춤형 사회통합정책이 필요하며, 이주민뿐만 아니라 정주민을 포함한 모두를 아우를 수 있는 사회통합정책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사회통합의 대상은 이주민만을 제한적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이주민을 포함한 한국 사회 시민 모두가 그 대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총서 발간의 목적은 이주민만을 대상으로 한 제한적 사회통합 대안 마련이 아닌, 이주민을 포함한 한국 사회 시민 모두를 위한 것이다.
- 서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