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자들의 실천 덕목을
총망라하여 제시하는 책
불자의 토대가 되는 계율을 ‘오계’라 한다. 재가신자는 삼귀의를 한 뒤 오계를 받아 지녀야 한다. 계율은 자신의 마음과 말, 행동을 부단히 알아차려서 거칠고 그릇된 면을 바로잡고 더 나은 몸과 마음가짐을 유지하게 하며, 번뇌로부터 벗어나 스스로를 자유롭게 하는 수행법이다.
‘간경 수행’은 부처님이 45년간 말씀하신 8만4천 법문이 담긴 경전을 불자들이 바르게 이해하고 부처님처럼 살아갈 첫걸음을 내딛게 해준다. 이 책에서는 일일 수행 점검표 양식을 첨부하여 불자들이 간경 수행 여부를 매일 기록하고 꾸준한 신행을 할 수 있게 했다.
3장에서는 불자들의 ‘염불 수행’을 위한 아미타불 염불, 관세음보살 염불, 지장보살 염불에 대해 소개한다. 자신의 힘으로 도업을 성취하는 자력自力 수행과 아미타 부처님을 비롯한 보살님의 원력에 의지하는 염불인 타력他力 수행의 조화를 강조하며, 칭명염불, 관상염불, 실상염불 등의 방법을 소개한다.
‘참선 수행’에서 불교 명상은 사유와 치유라는 두 기능을 가진다. 사유의 측면에서 불교는 지성 및 합리적 판단력에 따라, 무조건적 믿음이 아니라 이해를 바탕으로 한 믿음을 강조한다. 또 수행을 하면 번뇌로부터 일시적 또는 영원히 벗어나기 때문에 수행은 번뇌의 소멸이라는 치유의 측면을 가진다. 부처님이 가장 강조하신 명상 수행법인 ‘사념처’, 즉 인간이라는 존재에서 발생하는 모든 현상을 관찰하는 명상인 ‘위빠사나’에 대해서도 들여다본다.
부처님이 되겠다는 목표 설정은 ‘보리심’이라 하고, 부처님처럼 살아가는 실천을 ‘대비원력’ 또는 ‘보살행’이라 한다. 보리심은 대승보살의 발원으로 나타나는데 대표적인 발원으로 법회의 마지막에 사부대중이 합송하는 ‘사홍서원’이 있다. 대승불교의 핵심은 일체 중생이 평화와 행복을 완성하기 위해 존재의 실상을 통찰하고, 널리 이웃을 위한 실천을 하는 것이다. 이웃을 사랑하고, 이웃의 고통에 공감하며, 이웃을 위하여 이웃과 함께 나아가는 마음이 자비심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