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는 말 ― 왜 지금 공공성인가
1장 서양 공공성의 역사
1. 시민과 공공성 ?인민에서 공중으로
고대의 공공성
중세의 공공성
부르주아 사회의 등장
2. 근대 국가와 공공성
?야경국가에서 복지 국가 거버넌스로
자유주의 정부 이론
사회주의의 등장과 복지 국가
거버먼트에서 거버넌스로
3. 자본주의와 공공성
?파괴의 축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으로
자본주의, 악마의 맷돌
공공재의 등장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지켜질 수 있을까
깊이 읽기| 공무원은 공공적인가
2장 한국에서의 공공성
1. 공과 사의 기원
2. 식민지 공공성
3. 독재 정부와 공공성
4. 민간 정부에서의 공공성
시민불복종
깊이 읽기| 공공성과 개발의 정치
3장 공공성에 대한 비판적 접근
1. 비판적 공개성의 상실
부르주의 공론장의 등장
공론장의 변질
생활 세계의 내부 식민지화
2. 공공성에 관한 편견에 대한 비판
3. 노동 계급의 공공성은 불가능한가
4. 탈식민주의?서구 공공성에 대한 반발
깊이 읽기| 공공성과 민간 위탁
4장 공공성의 재구성
1. 공共을 통한 공公의 탈환
2. 공공성을 위한 장소
3. 이미 시작된 공공성 투쟁
깊이 읽기| 세계화 시대의 공공성
더 읽을 책들
개념의 연표?공공성
출판사 서평
“공共”을 통한 “공公”의 탈환 ― ‘개인ㆍ시민ㆍ공동체가 함께하는’ 공공성
신자유주의적 질서 및 경쟁과 효율성의 이념이 ‘공공성 公共性’을 공격해온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지만, 최근 한국 사회는 그 어느 때보다 두 가치가 격렬하게 충돌하고 있다. 철도 민영화 논란에 이어 의료 민영화 논란이 첨예한 상태이며, 대통령이 주재한 이른바 ‘규제개혁 끝장토론’ 이후 곳곳에서 규제완화의 후폭풍이 몰아치고 있다. 공공 서비스 영역에서 영리화를 추구하면서도 ‘민영화가 아니’라고 강변하고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 없이 규제를 금기시하며 양적...
“공共”을 통한 “공公”의 탈환 ― ‘개인ㆍ시민ㆍ공동체가 함께하는’ 공공성
신자유주의적 질서 및 경쟁과 효율성의 이념이 ‘공공성 公共性’을 공격해온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지만, 최근 한국 사회는 그 어느 때보다 두 가치가 격렬하게 충돌하고 있다. 철도 민영화 논란에 이어 의료 민영화 논란이 첨예한 상태이며, 대통령이 주재한 이른바 ‘규제개혁 끝장토론’ 이후 곳곳에서 규제완화의 후폭풍이 몰아치고 있다. 공공 서비스 영역에서 영리화를 추구하면서도 ‘민영화가 아니’라고 강변하고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 없이 규제를 금기시하며 양적인 문제로 접근하는 지금 상황은, 그야말로 ‘공공성의 위기’다.
최소한의 공공성을 담보하는 장치들을 국가가 나서서 무너뜨리고 있는 상황은 공공성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제기한다. 공공성의 주체는 국가ㆍ정부인가? ‘나’를 버리는 것이 공공성인가? 국가와 시장, 시민사회의 이해관계가 뒤엉키고 기후변화와 식량, 에너지 문제 등 국경을 넘나드는 사안들이 많아지는 오늘, 공공성의 진정한 의미와 실현 방안은 무엇인가?
‘비타 악티바|개념사’ 시리즈 30번째 권인《공공성》은 우리 사회에서 ‘민영화’의 반대 개념, 국가 주도 등으로 협소하게 이해되어온 공공성의 참된 의미와 역사를 살펴보는 책이다. 시민이 주체가 되는 공공성, 인간다움과 민주주의 회복에 기여하는 공공성의 이념을 탐색하는 이론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