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상세보기

도서명 경제학 비판을 위하여 1861~63년 초고 제1분책 - 마르크스-엥겔스 전집(MEGA (양장
저자 카를 마르크스
출판사 도서출판 길
출판일 2021-05-20
정가 60,000원
ISBN 9788964452370
수량
서문 5
편집자 일러두기 19

경제학 비판을 위하여(1861~63년 초고 제1분책

경제학 비판을 위하여 31
제3장 자본 일반 31
I 자본의 생산과정 33
? ? 1 화폐의 자본으로의 전화 33
??? a G ―W―G. 자본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 33
??? b 가치의 본성에서 유래하는 난제 등 45
???? α에 대한 보충설명 58
??? ? 노동과의 교환. 노동과정. 가치증식과정 59
? ? ? ? 노동능력의 가치. 최저임금 또는 평균임금 67
? ? ? ? 화폐와 노동능력의 교환 75
???? 노동과정 79
? ? ? ? 가치증식과정 91
? ? ? ? 노동과정과 가치증식과정의 통일(자본주의적 생산과정 116
? ? ? ? 화폐의 자본으로의 전화가 분할되는 두 가지 구성요소 127
???? 보충설명 157
? ? ? ? [추가 보충설명] 184
? ? 2 절대적 잉여가치 188
??? a 특정한, 즉 임금으로 지출된 자본 부분과의 단순한 비율로서 잉여가치 188
??? b 필요노동에 대한 잉여노동의 비율. 잉여노동의 척도 197
??? c 초과노동의 이점 202
??? d 동시적 노동일 203
e 잉여노동의 성격 208
???? 보충설명 211
? ? 잉여가치율 248
? ? 3 상대적 잉여가치 253
??? a 협업 272
??? b 분업 281
? ? ? ? 〔여록: (생산적 노동에 대하여〕 325
? ? ? ? 분업의 상이한 종류 334
???? 단순협업 335
??? ? 기계류. 자연력과 과학의 이용
? ? ? ? (증기, 전기, 기계작용과 화학작용 336
???? [2항과 3항에 대한 추가 보충설명] 364
? ? ? ? 분업에 대하여 366
???? 잉여노동 368
???? 10시간 노동법안과 초과노동 375

MEGA 한국어판의 출판에 부쳐│강신준 377

│복사자료 목록│
제1노트 1쪽 35
제3노트 95쪽 190
제3노트 111쪽 221
제3노트 1
■ 6개 분책의 구성
제1분책: <경제학 비판을 위하여> 제2권 --- 이번에 출판!
이 책은 마르크스의 최초의 구상에 따라 경제학 저술의 6개 범주 가운데 첫 번째인 ‘자본’을 다루는 <경제학 비판을 위하여>(총 10권으로 계획 제1권의 후속인 제2권의 내용을 담고 있다. 책의 전반적인 내용은 우리가 오늘날 마주하고 있는 <자본>의 제1권의 내용이 주요 부분을 이루고 있다.
제2~4분책: <잉여가치론> --- 이번에 제1분책 출판!
마르크스가 『자본』 제1권의 서문에서 『자본』 제4권이라고 지칭한 부분에 해당하는 것으로 마르크스가 『잉여가치론』이라고 불렀던 저술이다(일본과 북한에서는 『잉여가치학설사』라는 이름으로 부르고 있는데, 이번 출판에서는 원제목과 우리말을 최대한 일치시키는 방식에 맞추어 『잉여가치론』으로 명명했다. 참고로 현재 국내에서는 ‘잉여가치학설’이라는 말을 거의 사용하지 않는 대신에, ‘잉여가치론’이라는 말이 일반적으로 유포되어 있다. 『잉여가치론』은 다시 세 권의 책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번에 출판되는 제2분책은 『잉여가치론』의 제1권에 해당하고 2022년경에 출판될 제3분책과 제4분책이 각각 『잉여가치론』의 제2권과 제3권에 해당한다.
마르크스의 자본주의 분석은 크게 세 가지 범주에서 이루어졌다. 첫째는 역사적 분석으로 그는 『경제학 비판 요강』에서 “자본주의에 선행하는 생산양식”을 분석함으로써 자본주의의 역사적 성격을 규명했다. 이 부분은 통상 경제사로 알려진 학문 범주에 속한다. 두 번째는 구조적 분석으로 『자본』이 여기에 해당한다. 여기에서 마르크스는 자본주의의 본질과 현상을 가치와 잉여가치라는 핵심 범주를 통해 논리적으로 추상화시켜 재구성하고 있다. 이 부분은 경제 원론이라고 부를 수 있는 학문 범주에 속한다. 마지막 세 번째는 이론이 현실의 반영이라는 마르크스 방법론의 특성을 반영해 경제학 이론의 역사를 자본주의의 반영이라는 관점으로 분석한 것으로 『잉여가치론』이 바로 여기에 해당한다. 이 부분은 대개 경제학사라고 부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