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1부 한국인의 삶 속에 들어온 불교
1장 불교, 인도에서 나와 중국으로 오다
2장 한반도에 들어온 불교, 새로운 문명을 열다
3장 신라 왕실이 불교를 택한 이유: 왕권강화의 시너지 효과
4장 불교, 토착신앙을 딛고 뿌리를 내리다
5장 교학 이해의 전주곡: 학파불교의 싹을 키우다
2부 신라 불교, 사상과 신앙의 나래를 펴다
1장 정토: 내세의 유토피아를 꿈꾸다
2장 원효: 세간과 출세간의 경계를 뛰어넘다
3장 교학불교의 만개: 의상 화엄과 해동 유식
4장 통일과 융합: 불교문화의 찬란한 꽃이 피다
5장 시대의 아이콘: 선과 풍수지리
3부 고려 불교, 전성기를 노래하다
1장 고려는 과연 불교국가인가?
2장 선과 교의 공존: 광종의 기획과 의천의 승부수
3장 결사의 시대와 개척자들: 지눌과 요세
4장 문화국가의 자긍심, 대장경을 만들다
5장 고려의 불교의례와 신앙의 향연
6장 한국 불교의 자화상을 담다: 『해동고승전』과 『삼국유사』
7장 원간섭기: 변동의 서막과 간화선의 전수
4부 조선 불교, 유교와의 힘겨루기
1장 유불 교체의 상징과 조선 불교 다시 보기
2장 조선 전기: 억불의 깃발을 들다
3장 전통의 유산: 왕실불교와 국왕
4장 선교 양종의 재건: 도약의 디딤돌이 되다
5장 임진왜란 의승군 나라를 구하다
5부 유교사회와 불교, 공생을 꿈꾸다
1장 임제법통의 성립과 문파의 형성
2장 선과 교, 염불의 융합: 이력과정과 삼문
3장 종교 지형의 확대: 내세와 정토, 민간신앙의 습합
4장 조선 후기 승역의 실상과 사원경제의 기반
5장 유불 교류의 양상과 불교 심성론
6장 중국 불서의 전래와 화엄의 전성시대
7장 19세기 선 논쟁의 전개와 선과 교의 이중주
8장 불교 역사서의 찬술: 전통을 아로새기다
6부 근대화의 격랑과 불교의 활로 모색
1장 불교, 문명개화와 근대화의 횃불을 들다
2장 사찰령 체제의 질곡: 물 건너간 불교 자주화
3장 승려의 결혼:
살아 있는 전통이자 미래인 한국 불교의 자화상
372년 고구려 소수림왕 때 중국 전진에서 순도가 불상과 불경을 가지고 오면서 한반도에 처음 불교가 전해진 이후 1,700여 년이 흘렀다. 고구려, 백제, 신라의 삼국시대를 이어 통일신라와 고려시대까지 불교는 한반도에서 오랜 세월 명맥을 유지해온 다양한 토착신앙을 흡수하면서 한국적 토양에 맞는 찬란한 문화의 꽃을 피웠다. 그러다 유교를 통치이념의 전면에 내세운 조선에 들어와 불교는 크나큰 시련을 맞이했으며, 18세기 후반에는 자생적으로 퍼져나간 천주교, 그리고 서구 근대문명이 물밀 듯 들어온 19세기 말부터는 개신교와 경쟁하면서 오늘에 이르게 되었다.
그런데 종교 유무나 어떤 종교를 믿는지와 무관하게 대다수 한국인의 인식 속에는 ‘고려는 불교국가였다’라는 단편적 시각과 ‘조선시대 불교는 숭유억불 정책으로 여성과 서민의 비주류 신앙으로 겨우 명맥을 유지했으며 심지어 승려의 지위가 천민 수준으로 떨어졌다’ 등의 부정적 이미지가 굳게 자리 잡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이는 매우 안일한 인식이다. 특히 조선시대 불교에 대한 잿빛 이미지가 형성된 것은 경성제대 교수였던 다카하시 도루高橋가 1929년에 펴낸 『이조불교李朝佛敎』의 영향이 크다. 해방 이후 우리 역사를 바라보는 시각에 드리워져 있던 타율성론, 정체성론 같은 식민사관은 매서운 비판을 받고 어느 정도 극복되었지만 조선시대 불교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이에 한국 불교 전문가인 김용태 교수가 일반인을 위한 교양서로 『토픽 한국 불교사』를 펴내게 되었다. 36개의 흥미로운 토픽을 중심으로 한반도에 불교가 전래된 삼국시대부터 현재까지를 두루 살펴보는 이 책은 딱딱한 개설서나 통사가 아니다. 불교에 대해 익숙한 사람이든 잘 알지 못하는 사람이든 우리 역사와 문화에서 상당한 지분을 갖고 있는 한국 불교의 본래면목을 온전히 만날 수 있도록 길을 안내해주는 교양서다.
한국의 명산 어디를 가든 만날 수 있는 고찰과 빛나는 불교 문화유산들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