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사 | 박종철
서문
북한 경제·사회 연구의 성과와 과제 | 양문수·이우영
제1부김정은시대의 북한 경제
제1장 김정은시대의 경제정책: 경제·핵 병진노선과 특구 전략 | 조동호
1. 머리말
2. ‘경제·핵 병진노선’의 내용과 배경
3. ‘경제·핵 병진노선’의 경제적 의미
4. 북한 경제정책 전망
5. 맺음말
제2장 김정은시대의 경제개혁과 시장화 | 양문수
1. 머리말
2. 전제적 논의
3. 김정은시대 ‘우리식 경제 관리방법’의 추진 과정과 평가
4. 김정은시대의 시장화 실태와 평가
5. 맺음말
제3장 김정은시대의 경제특구와 대외개방: 평가와 전망 | 배종렬
1. 머리말
2. 경제특구제도의 변천사와 그 개방 특성
3. 김정은시대 경제특구에 대한 평가
4. 맺음말
제4장 김정은시대의 북한 식량 수급: 현황과 전망 | 권태진
1. 머리말
2. 김정은 정권 출범 이후 북한의 식량 수급 동향
3. 김정은시대의 농업정책
4. 북한의 식량 수급 전망
5. 맺음말
제2부 북한 경제의 성장 실적 및 부문별 이슈
제5장 북한의 장기 경제성장 실적 재평가 | 김석진
1. 머리말
2. 전통적 사회주의 시기의 경제성장 실적
3. 경제위기 이후의 경제성장 실적
4. 맺음말
제6장 북·중무역의 결정요인 분석 | 이석
1. 머리말
2. 예비적 논의: 관찰
3. 분석모형과 이용 데이터
4. 분석결과와 해석
5. 맺음말
제7장 2000년대 북한의 산업 및 기업 실태 | 이석기
1. 머리말
2. 2000년대 북한 산업: 부분적 회복과 그 한계
3. 기업 관련 기사를 통해 본 2000년대 북한의 산업<
경제위기의 장기화와 시장화의 진전,
이를 통해 살펴본 김정은시대 북한의 실상.
이 책은 북한 연구가 하나의 지역학이자 여러 학문이 학제적으로 연결된 융합 학문을 지향해야 하는 시점에서 북한 연구의 성과를 되짚어보고, 향후 연구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북한연구학회가 발간한 ‘북한연구학회 연구총서’의 제2권이다. 총 5권으로 구성된 ‘북한연구학회 연구총서’의 대주제는 ‘김정은체제: 유산과 도전, 새로운 국가전략의 모색’이다. 김정은체제가 공식적으로 출범한 지 3년이 가까워진 시점에서 김정은시대를 조망할 수 있는 객관적 프리즘을 제시할 필요성이 있다는 점을 고려해 이번 총서를 기획, 출간하게 되었다.
최근 북한 사회가 겪고 있는 적지 않은 변화는 근본적으로 경제체제의 전환, 즉 시장화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시장화의 다른 한편은 배급제의 붕괴이고, 이는 사회 이동의 증가와 정보유통의 증가로 이어진다. 이것은 기존 북한의 사회관계망이 변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동시에 신분중심적인 계층구조에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는 것을 뜻하기도 한다. 또한 제도적인 차원과 달리 일상 영역에서 가부장적인 특성을 유지하던 북한에서 여성이 시장화의 중심에 진출함으로써 가족관계에서 남녀관계도 변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북한 사회의 연구에도 변화가 적지 않다. 지금까지 언급한 것과 같은 시장화의 사회적 결과에 주목하는 연구들이 본격화되는 동시에 체제중심적인 거대담론을 벗어난 일상에 대한 미시적인 사회 연구가 활성화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는 기존의 북한 연구 패러다임 문제에 대한 성찰을 바탕으로 새로운 연구가 필요하다는 연구자들의 자각에서 비롯되었지만, 탈북자 증가와 북한을 방문하는 내외국인의 증가 등으로 관련 연구를 가능하게 하는 정보가 증가한 현실과도 무관하지 않다. 이 책은 이러한 북한 경제, 사회의 변화와 그에 따른 최근의 연구 성과를 정리하고 있다.
1990년대 초 발생한 북한의 경제위기는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