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logue
Ⅰ. 한국불화론
1. 한국불화의 성격
2. 한국불화의 종류
3. 한국불화의 시대 구분
Ⅱ. 삼국시대의 불화
1. 삼국시대 불화론
2. 고구려의 불화
3. 백제의 불화
4. 고신라의 불화
5. 가야의 불화
Ⅲ. 통일신라시대 및 발해의 불화
1. 통일신라의 불화
2. 발해의 불화
Ⅳ. 고려의 불화
1. 고려불화론
1 고려불화의 시기 구분과 조성 배경
2 고려불교의 특징과 불화의 도상학
대승불교와 밀교의 관계 / 다라니의 대승불교적 요소와 밀교적 요소
불복장품의 성행 / 고려불화와 교종 및 선종의 융합
아미타 정토신앙의 특징과 정토도상의 유형
아미타8대보살도(구존도의 성행과 도상 구성 / 수월관음보살도의 신앙과 도상 특징
3 고려불화의 형식 및 양식
4 고려불화의 화사계보와 직분
2. 고려 전반기(918~1170의 불화
3. 고려 후반기(1170~1392의 불화
1 제1기(1170년~1270년경의 불화
2 제2기(1270년~1306년 내지 1310년의 불화
3 제3기(1307년 내지 1310년~1392년의 불화
4 고려 말기(1350년~1392년의 채색 양식
4. 고려불화에서 조선불화로의 변모
Ⅴ. 조선의 불화
1. 조선 불화론
조선불화의 조성 배경과 성격 / 조선불화의 시기 구분/
조선불화의 형식과 도상 특징 / 조선불화의 양식적 특징
2. 조선 전반기의 불화
1 조선 전반기 불화론
불교 통폐합과 다불화의 성행 / 왕실불화와 재의식 불화의 성행 / 티베트계 명 양식의 수용
항마촉지인 석가불상 등장 / 사천왕의 배치와 도상 특징의 변화
2 조선 초기(전반기 제1기 태조 ~ 성종기: 15세기의 불화
(1 조선 초기 불화론
불화의 조성 배경/ 불화의 양식과 특징
(2 조선 전기의 불화
3 조선 전기(전반기 제2기 중종 ~ 선조기: 16세기의 불화
(1 조선 전기 불화론
불화의 조성 배경/ 불화의 양식과 특징
(2 조선 초기의 불화
3.
불교회화의 시기 구분은 작품의 양식 변천을 중심으로 도상형식, 조성사상, 조형의지, 사회변화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불화의 시대 구분을 하였다. 각 시대별로 살펴볼 수 있다.
1. 삼국시대 불화
삼국은 불교가 전래된 4세기 이후 불교사원에서 많은 불화가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사찰의 소멸로 불화는 거의 사라지고, 다만 현재 남아있는 고구려 집안의 장천 1호분예불도 벽화에서 당시 불화의 형태를 추측할 수 있는 예불도가 있다.
동벽천정(東壁天井의 예불도는 대좌(臺座 위에 앉아있는 불상과 이를 예배하는 주인공 부부가 묘사되어 있다. 중앙에는 불좌상이 대좌 위에 결가부좌로 앉아있는데 뒤에는 거신광배(擧身光背, 위에는 연화문천개(蓮花紋天蓋가 있어서 병령사 석굴 169굴 벽화불상이나 돈황석굴불상 천개그림처럼 불상을 장엄하고 있다. 특히 주목되는 점은 대좌 양쪽에 걸터앉아 있는 두 마리의 사자들이다. 이 사자들은 사람과 마찬가지로 불상대좌의 조각으로서가 아니라 실제 살아 있는 사자를 묘사하고 있다. 불상 좌우에는 예불자가 부처님을 향해 엎드려 머리를 조아리고 절을 하는 장면을 묘사한 것으로 좌우 화면의 대비효과와 대칭효과를 주고 있다. 또한 주인공 부부를 크게 그리고 시녀를 작게 그리는 원근법을 구사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2. 통일신라시대 불화
통일신라의 불화들은 거의 사라지고 없지만 문헌으로는 다수 전해지고 있어서 당시의 성황을 잘 알려주고 있다. 통일신라에는 수많은 불화가 그려졌다. 그러나 이 당시의 그림은 모두 없어지고 다만 백지에 그린 화엄경사경변상도(755년 완성만 남아 있어서 당시 불화의 일면을 알려주고 있다. 화엄사 석탑에서 출토되었다고 추정되는 이 그림은 따라서 신라불화의 유일한 예로 크게 주목된다. 이 그림은 생동감 있는 필치와 풍만하고 우아한 불·보살의 모습에서 당시 수준 높은 불화의 수준을 가늠할 수 있다.
3. 고려시대 불화
고려는 불교를 국교로 삼았던 유일한 국가이다. 고려불화는 화기나 불상의 복장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