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동을 하지 않을 때는 벽에 붙여져 있는 활동 문구도 차분히 읽었다. ‘평화는 균형을 잡으려는 노력입니다’, ‘진동과 떨림은 균형을 잡고 있다는 신호입니다’, ‘고민하는 진동이 균형을 만듭니다’.
(88쪽
<완두콩 배의 롤라>에서 등장인물이 도망치고 숨는 장면은 ‘관계의 균형을 상실한 모습’을 은유적 표현한 것이다. 오해를 푸는 방법은 소통밖에 없다. 자신의 처지에서 자기가 느끼는 생각과 감정을 겉으로 드러내지 않으면서 다른 사람에게 이해 받기는 어렵다. 사람이 자기 의사를 표시하는 것은 본능이다. 갓난아기도 배가 고프면 목청껏 울어 댄다. 그러면 누군가 해결해 준다. 하지만 이런 원초적인 자기표현은 사회화 과정에서 서서히 사라진다. 자기 마음이 들킬까 봐, 다른 사람이 자기를 평가할까 봐 전전긍긍하며 마음속에 감정의 벽돌을 쌓는다. 높다랗게 쌓인 감정은 어떤 계기를 만나면 ‘분노’가 되어 한꺼번에 쏟아진다. 개인심리 학의 창시자 아들러(Alfred Adler는 분노는 자기 의지를 관철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이용되지만 분노가 커질수록 이런 효과는 사라지고 주변 사람들 과 쉽게 갈등 관계에 빠진다고 했다. 분노는 다른 사람에 대한 적대적인 태도이기 때문에 분노를 드러낼수록 공동체 의식은 사라진다.
(112쪽
사회적인 수준의 평화는 공동체 시스템을 정착하는 노력과 성숙한 시민의 연대를 통해 만들 수 있습니다. 레빈이 학교에 다닐 수 있게 허락한 쿠바르트의 결단, 레빈의 엄마를 치료한 쿠르트의 용기가 이질적인 공동체의 경계를 허물었던 것처럼요. <완두콩 배의 롤라>는 몇 사람의 노력으로도 공동체의 갈등을 해결할 수 있음을 보여 줍니다.
(136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