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롤로그
<제1부 임진왜란>
|제1장| 침략의 전야
1. 중세 동아시아 질서
2. 일본의 외교적 도전
대마도의 중재|통신사 파견에 대한 반대여론|대마도의 2차 시도|통신사 파견의 결정|통신사 파견|통신사의 귀국보고|히데요시에 대한 답변
3. 명에 대한 보고 여부
조헌의 주장|조정의 논의|유구(琉球의 보고|명의 반응과 추가적 보고|일본 현지 본국인의 보고
|제2장| 왜군의 침략과 초기대응
1. 왜군의 화전양면 작전
침략의 개시|서울 점령과 전국 분할|임진강에서|대동강에서|여타 지역에서
2. 국왕의 피난 그리고 내부(內附
국왕의 피난|평양 이후|분조(分朝와 내부요청|명 조정, 내부의 거절
3. 조선과 명의 접촉
최초의 통보|두 번째 통보|명의 반응|요동의 정탐군대 파견|명의 자체 조사|요동에 대한 군사 요청
4. 조선의 반격과 전세의 균형
조선 수군의 승리|의병의 조직|경상우도|전라도 진출의 좌절|경상좌도|경기도와 황해도|함경도|진주성전투|요동군의 평양공격
|제3장| 명의 참전
1.명ㆍ일 교섭과 조선의 대응
심유경의 조선 방문|심유경-유키나가 1차 교섭|조선의 대응|기요마사의 강화조건?? 병부의 계첩|조선의 독자적 공격 방안|제2차 강화협상|송응창의 입장|강화와 평양공격
2. 명의 파병 결정
찬반논쟁|북경에 진주사 파견|북경의 섬라 사신|황제의 파병 칙서|조선의 대응|건주여진의 파병 제안
3. 명의 출병과 평양수복
송응창의 원정 준비|조선의 협력|명군의 진입|전투의 전개|조선인 참획|명군 내부 갈등|파병의 이유 쟁론
<제2부 강화협상>
|제4장| 벽제관전투와 명의 전략 수정
1. 벽제관전투
명군의 남하|벽제관전투와 조선군|명군의 후퇴|산동순무 손광의 진격 반대|식량과 날씨|행주대첩|함경도 왜군
2. 명군의 남하 중단과 강화
조선의 남진 요청|송응창의 입장|송응창의 조선 진입|강화의 가시화|국왕
■ 책 속에서
ㆍ물론 당대에도 오래된, 하나의 통합된 국제질서는 존재했다. 중국, 보다 정확하게는 중원 지역을 차지한 정치세력이 그 질서의 중심에 있었다. 중국과 주변국들은 조공과 책봉을 통해 주종관계를 이룸으로써 안정을 유지했다. 그러나 국제질서의 제도나 규범은 평상시에는 어느 정도 원칙대로 관철되는 듯하지만, 전시과 같이 엄중한 시기에는 적나라한 힘의 관계가 그를 대신하기 마련이다. 이것이 바로 저자가 근대 이전 동아시아 질서에 대한 일반적인 논의 너머, 한 전쟁의 통사에 집중한 이유다. ―‘뒤 표지글’ 중에서
ㆍ16세기 말 임진왜란은 근대 이전 한ㆍ중ㆍ일 삼국이 벌인 유일한 전면전이다. 그리고 그 전장은 다름 아닌 한반도였다. 그렇다면 왜 해당 시점에서 그러한 전쟁이 발발했을까? 사실 전쟁의 비이성적 성격에 주목한다면, 그 원인을 논리적으로 설명하려는 시도는 부질없는 일이다. 역사적으로 보면, 국내의 혼란을 극복하고 정치권력을 장악할 경우, 권력자들은 그 야욕을 대외로 확장하려는 유혹에 빠지기 쉽다. 도요토미 히데요시(?臣秀吉 또한 후대에는 새로운 시대를 연 것으로 미화되지만, 사실 그는 조선에 보낸 국서에서 솔직하게 자신의 이름을 3국에 떨치고자 할 뿐이라고 주장했다. 기원전 3세기 전국시기 중국의 사상가 순자(荀子도 인간의 본성을 다음과 같이 쓰고 있다. “천하를 합해 그곳의 임금노릇 하고…… 제후들을 신하로 부리면서 천하를 하나로 만드는 것은 역시 사람의 감정이 다 같이 바라는 일이다.” ―본문 15쪽, ‘제1장 침략의 전야’ 중에서
ㆍ왜군이 북상하자 명 조정은 연해 지방에 대한 방비를 강화시키는 데 집중했다. 왜군이 평양을 점령했을 때에도 조선 출정은 고려되지 않았다. 요동의 군사 2, 3천 명이 압록강을 왕래했을 뿐이었다. 당시 명은 지난 2월 영하(寧夏에서 발생한 발배(?拜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