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상세보기

도서명 일본인이란 무엇인가 새로운 국화와 칼 일본인이 파헤치는 일본의 행동 원리
저자 야마모토시치헤이
출판사 페이퍼로드
출판일 2012-11-22
정가 33,000원
ISBN 9788992920773
수량
목차
저자 서문_ 새로운 『국화와 칼』 007
프롤로그 『다이세이산텐코』의 일본 ― 다테 지히로의 역사관
일본의 독창성 019 | 골(骨ㆍ직(職ㆍ명(名의 새로운 구분 024
제1부 씨족 시대에서 율령 시대로
제1장 일본인이란 무엇인가
인류 역사를 뛰어넘은 민족 029 | 지금도 남아 있는 조몬 시대의 음식 032 | 중국 역사서
에 나타난 일본 038 | 쓰다 소키치 박사의 이론 047 | 골(骨 시대의 씨족 체제 051
제2장 문자의 창조
일본 문화의 근원 ‘(가나’055 | 가나를 만든 과정 061 | 가나는 누가 만들었을까 065 |
가나 문자 문화 완성을 위한 고투 070 | 일본 문학의 독자성과 보편성 074
제3장 율령제의 성립
과거제도 없는 율령제의 도입 080 | 중앙집권 국가로의 변신 084 | 개혁의 기둥 ‘(반전수
수법’087 | 엘리트의 ‘빈궁문답가’ 091 | 율령제 붕괴를 재촉한 농민의 도주 093 | 율령제
보다 가나 문화 097
제4장 신화와 전설의 세계
일본 신화의 영속성 105 | 진화형에서 창조형으로 111 | 신화에 나타난 신들의 행동 116 |
신화가 뒷받침한 천황의 정통성 121
제5장 불교의 전래
종교 혼효(混淆, 뒤섞임의 유사성 127 | 일본의 불교 수용은 ‘(상위에서 하위로’128 |
유교와 도교가 합쳐진 중국 불교 130 | 유교와 불교가 협력해서 그리스도교를 공격하다
131 | 도교와 신토는 같은가 133 | 천인(天人과 선인(仙人은 도교 용어 134 | 통치 신학
으로써의 신유불합일론 136 | 불교 국가 창건의 공죄(功罪 137 | 주술과 말법(末法 사상에
의한 불교 변질 139 | 염불만 선택한 호넨(法然 142 | 계율을 사수한 유일한 승려 묘에(明惠
143 | 일본 불교의 특징 145
제6장 민주주의의 기묘한 발생
공명(共鳴으로 민주주의 정착 147 | 비밀투표의 뿌리 150 | 다수결은 신의 뜻이다 152 |
불합리한 강소의 첨병들 157 | 초
출판사 서평
이 책은 일본문화론의 대가(大家 야마모토 시치헤이(山本七平가 일본에 대한 선입견과 오해를 걷어내고 풍부한 자료와 해박한 지식을 토대로 일본의 뿌리부터 파헤쳐 밝힌 책이다. 그 스펙트럼은 일본?의 문자ㆍ신화ㆍ종교ㆍ정치ㆍ화폐제도ㆍ무역ㆍ경제ㆍ법체계ㆍ철학에 이르기까지 매우 광범위하다. 우리가 알고 있는 일본 역사의 대부분은 임진왜란을 전후로 한 전국시대와 메이지유신 이후다. 그에 비해 『일본인이란 무엇인가』는 선사시대부터 현대까지 이어져온 일본과 일본인의 삶을 조명하고 있어 일본을 총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해준다. 일본 문화와 역사를 ...
이 책은 일본문화론의 대가(大家 야마모토 시치헤이(山本七平가 일본에 대한 선입견과 오해를 걷어내고 풍부한 자료와 해박한 지식을 토대로 일본의 뿌리부터 파헤쳐 밝힌 책이다. 그 스펙트럼은 일본의 문자ㆍ신화ㆍ종교ㆍ정치ㆍ화폐제도ㆍ무역ㆍ경제ㆍ법체계ㆍ철학에 이르기까지 매우 광범위하다. 우리가 알고 있는 일본 역사의 대부분은 임진왜란을 전후로 한 전국시대와 메이지유신 이후다. 그에 비해 『일본인이란 무엇인가』는 선사시대부터 현대까지 이어져온 일본과 일본인의 삶을 조명하고 있어 일본을 총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해준다. 일본 문화와 역사를 전공하거나 국제정세를 공부하는 이들에게는 전문적인 식견을 한층 넓혀줄 것이고, 일본에 대해 알고 싶은 호기심 많은 독자들을 위한 일본 문화 대중서로서도 무리가 없을 것이다.
군국주의 국가 일본은 왜 패전 후 민주주의를 급속히 수용할 수 있었을까?
“일본인은 동아시아에서 가장 후진 민족입니다”
자국민을 일컬어 천연덕스럽게 ‘동아시아에서 가장 후졌다’고 말하는 저자 야마모토 시치헤이는 일생동안 일본 문화와 일본의 정체성을 끈질기게 연구한 ‘일본인’이다. 출세작『일본인과 유대인』,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일대기를 다룬 『기다림의 칼』 등의 저작으로 이름을 알렸으며, 특히 『공기의 연구』에서 “일본은 공기(분위기의 나라”라고 했던 말은 지금도 식자들 사이에서 널리 회자되고 있다. 1991년에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