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6
1부 생명의 논리를 살피다
1장_ 생명을 어떻게 기술해 가는가 17
생명에 대한 관점 17|‘관계’에서 출발한다 19|생명의 설계 원리 23|
생명의 자기 언급적 창출성과 요소 27|‘장소’와? 구속조건의 생성 31|
나의 꿈과 관점 34
2장_ 자기조직과 정합성 37
생명 현상을 생각함에 있어서 37|자기조직 시스템의 예 : 레이저 39|
질서 파라미터와 예속화 원리 43|균질적 시스템에서의 자기조직 현상이란 생각과 그 한계 46|산일 구조와 정합성 48|카오스의 발생 51|‘요동’이 만드는 질서 54|단단한 질서와 부드러운 질서 58
3장_ 생명관계학의 과제 61
해석의 다양성을 허용하는 질서를 생각한다 61|획일적인 질서의 문제점 63|경제에 있어서 질서의 자기조직 65|전일적인 정보와 ‘장’ 69|자기조직 이론의 확대를 향한 시도 71|관계론적 자기조직론의 제안 74|
바이오 홀로닉스에 대한 비판을 딛고서 77|정보 개념의 유효성을 재검토한다 81|구조를 생성적으로 파악한다 84|카오스와 질서 87
2부 생명시스템의 복잡성
1장_ 관계자, 복잡한 장소와 장, 정보 창출의 기본 구조 93
관계자로부터의 출발: 생명관계학의 기본적인 방법 93|주관적 인식의 객관화 98|과학 구조의 융해와 재구축 101|관계자의 집단적 행동 103|‘장’ 속의 관계자와 전일적 고리 106|장소에 있어 불량 설정 문제와 구속조건 109|장소로서의 시장과 조직 113|시장의 창조성, 주체성 120|기업의 공동창조적 경영 124
2장_ 의미세계의 논리란 무엇인가 126
‘복잡한 시스템’과 ‘정교한 시스템’ 126|과학적 기술의 문제점 131|경성 과학으로는 불가능한 의미의 기술 문제 136|의미의 세계와 기술 조건 140|생물을 기술하는 연성 과학 143
3장_ 생명관계학이 설정하는 문제들 147
생명관계학은 다양한 이해에 의해 만들어진다 14
출판사 서평
현대 과학과 동양 철학을 아우르는 통섭 과학의 고전
―‘장소’와 ‘관계자’ 개념으로 바라보는 새로운 생명이론
이 책 『생명과 장소』는 생명을 세포나 시스템과 같은 고정된 틀을 통해 파악하는 기존의 과학적 서술 방식에서 탈피하여, 움직이고 변화하는 생명 자체를 서술하는 생명관계학을 처음으로 주장한 책이다. ‘생명관계학’이라는 용어가 낯설게 느껴질 수도 있겠지만 사실 생명관계학은 한국 사회에서도 새로운 지식의 모델로 여겨지고 있는 통섭 과학과 네트워크 이론의 연원이 되는 학문이다. 특히 개체가 아니라 관계를, 코스모스가 아니라 ...
현대 과학과 동양 철학을 아우르는 통섭 과학의 고전
―‘장소’와 ‘관계자’ 개념으로 바라보는 새로운 생명이론
이 책 『생명과 장소』는 생명을 세포나 시스템과 같은 고정된 틀을 통해 파악하는 기존의 과학적 서술 방식에서 탈피하여, 움직이고 변화하는 생명 자체를 서술하는 생명관계학을 처음으로 주장한 책이다. ‘생명관계학’이라는 용어가 낯설게 느껴질 수도 있겠지만 사실 생명관계학은 한국 사회에서도 새로운 지식의 모델로 여겨지고 있는 통섭 과학과 네트워크 이론의 연원이 되는 학문이다. 특히 개체가 아니라 관계를, 코스모스가 아니라 카오스를 생명 현상의 기본 모델로 채택하여, 생명 요소들이 관계 맺는 장소(場所 속에서 생명을 파악하는 새로운 학문이다.
그동안 국내에서도 네트워크적 관점으로 세상을 봐야 한다는 담론들은 넘쳐 났으며, 통섭 과학의 필요성을 주장한 책들도 쉼 없이 출간되었다. 그러나 통섭 과학의 이념이나 네트워크 이론을 견고한 철학적 토대 위에서 실증적으로 탐구한 사례는 접하기 어려웠다. 이러한 점에서 『생명과 장소』는 이제껏 풍문으로만 들려 왔던 네트워크 이론의 통찰이 우리에게 어떤 새로운 비전을 보여 주는지를 통섭의 차원에서 명료하게 제시한 우리 시대의 고전이라 할 만하다.
저자 시미즈 히로시(淸水博는 생명관계학 분야에서 복잡계 연구에 기반한 생물의 운동 원리 해명 등 다채로운 연구를 해온 일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