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대한민국 정부가
“치매 국가 책임제”를 도입한 이유
중앙치매센터에 따르면, 대한민국은 2026년이면 고령화사회에서 초고령화사회로 넘어간다고 한다. 초고령화사회는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의 20% 이상인 상태를 말한다. 대표적인 고령 국가인 일본보다 10여 년이나 속도가 빠르다. 초고령화사회로 빠르게 접어들고 있는 만큼 치매에 걸리는 노인 인구수도 증가하고 있다. 통계청과 중앙치매센터는 2018년 65세 이상 노인 인구 737만 명 중 75만 명이 치매를 진단받았고, 이 추세라면 전체 인구의 34%가 고령 인구가 되는 2040년에는 200만 명 이상이 치매에 걸릴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심각성을 인식한 정부는 2017년 치매 국가 책임제를 도입했고 ‘치매로부터 가장 먼저 자유로워지는 나라’를 슬로건으로 내세웠다. 하지만 치매인 수는 계속해서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나 코로나19로 노인들이 집에만 있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치매 위험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
40~50대 중년 세대도
더 이상 안심할 수 없다!
치매 위험은 비단 노인에게만 해당되는 문제는 아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2019년 전체 치매인 10명 중 1명이 65세 미만이었다. 게다가 치매 중 발병률이 가장 높은 알츠하이머형 치매는 비교적 젊은 시기인 40대부터 뇌에 변화가 생겨서 발병한다. 증상이 나타나는 노년기로부터 20~30년 전에 이미 치매를 일으키는 비정상 단백질인 ‘베타 아밀로이드’가 쌓이기 때문이다. 비정상 단백질은 당뇨를 앓고 있다면 뇌에 축적될 확률이 더욱 높아진다. 치매 중 발병률이 두 번째로 높은 ‘혈관성 치매’도 40~50대에 주로 걸리는 동맥경화 등의 성인병 때문에 발생한다. 비정상 단백질이 쌓이거나 성인병에 걸리는 가장 치명적인 원인은 바로 생활 습관이다. 다시 말해, 40~50대부터 생활 습관을 건강형으로 개선하면 그만큼 치매에 걸릴 확률이 낮아진다는 것이다.
35년 경력 치매 전문의가 소개하는
단순하지만 효과적인 치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