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속으로
1950년대 나의 고향 마을은 아메리칸드림을 구현할 수 있는 곳이었다. 마을의 모든 아이들은 그들의 배경과 관계없이 상당한 기회를 부여받았다. 그러나 반세기가 지난 지금 오하이오 주 포트클린턴(Fort Clinton에서의 삶은 찢겨진 스크린에 나타난 ‘아메리칸악몽’이 되었다. 포트클린턴에는 도시를 가로지르는 선로가 있다. 이 선로를 기점으로 낙후된 지역에 거주하는 아이들은 부유한 지역에 사는 아이들처럼 준비된 미래를 상상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 슬프게도 포트클린턴의 이야기는 오늘날 미국의 전형적인 모습을 나타낸다. 이러한 변화가 어떻게 일어났는지, 왜 그것이 문제가 되는지, 그리고 우리 사회의 저주받은 행로를 바꾸기 위해 우리는 무엇을 시작해야 하는지가 바로 이 책의 주제다.
-본문 11p, 1장 「아메리칸드림: 신화와 현실」 중에서
1950년대의 포트클린턴에서 사회경제적 계급은 백인이나 흑인 어느 인종의 아이들에게 있어서든, 21세기에서 나타나는 것처럼 그렇게 감당할 수 없을 정도의 장벽이 아니었다. 비교해보면 1959년도 졸업반 구성원들의 자녀들은 평균적으로 그들 부모를 넘어서는 교육적 진전을 경험하지 못했다.8 1959년 졸업반 구성원 대부분을 상층부로 이끌었던 에스컬레이터는 그들의 아이들이 탑승할 차례가 되자 돌연 멈춰섰던 것이다.
-본문 20p, 1장 「아메리칸드림: 신화와 현실」 중에서
이 책은 상투적인 ‘백미러rearview mirror’ 방식을 피하면서 지난 30년 동안 아이들에게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를, 즉 그들이 태어난 가정, 그들이 받은 양육과 교육, 그리고 그들이 자라난 공동체 등을 직접 조사하는 색다른 방식을 수용한다. 우리는 그러한 경험들이 아이들이 자기 인생을 얼마나 잘 살 수 있는지 여부에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 이들 분야에서 우리가 감지할 수 있는 변화가 무엇이든 간에 그것은 사회이동social mobility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예시해줄 것이다. 고통스럽게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