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부_ 평택 항일운동의 인물 연구
안재홍의 ‘己未運動’과 임정법통성의 역사의식 / 김인식
Ⅰ. 머리말
Ⅱ. 3·1민족운동에 참여한 활동 배경과 계기
Ⅲ. 대한민국청년외교단 활동
Ⅳ. 맺음말 : 3·1민족운동과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계기성·법통성 인식
안재홍, 그 제애 없는 정전의 삶 / 윤대식
Ⅰ. 머리말
Ⅱ. 정신의 삶: ‘고독’의 상태로서 정치적 사유
Ⅲ. 활동의 삶: 백열(白熱한 지사적 문화투쟁
Ⅳ. 맺음말 : 문화대국을 꿈꾼 지식인의 일생
원심창의 항일 의열투쟁과 육삼정 의거 / 김명섭
Ⅰ. 머리말
Ⅱ. 성장과 아나키즘 수용
Ⅲ. 원심창의 항일 의열투쟁
Ⅳ. 육삼정 의거와 투옥
Ⅴ. 맺음말
일제강점기 이병헌의 생애와 민족운동 / 성주현
Ⅰ. 머리말
Ⅱ. 천도교 입교와 수원교구
Ⅲ. 3·1운동 참여와 ‘제암리학살사건’
Ⅳ. 신간회 경성지회에서의 활동
Ⅴ. 종교인으로서의 이병헌
Ⅵ. 맺음말
제2부_ 평택 항일운동의 역사 연구
평택지역 3·1운동의 역사적 배경 / 박철하
Ⅰ. 머리말
Ⅱ. 평택지역의 사회·경제적 변동
Ⅲ. 평택지역 식민통치기구의 설치
Ⅳ. 3·1운동 이전 평택지역의 항일구국운동과 근대교육
Ⅴ. 맺음말
평택지방의 3·1독립만세운동 / 김 방
Ⅰ. 머리말
Ⅱ. 평택지방의 지역개관
Ⅲ. 평택지방 3·1운동의 개요
Ⅳ. 일제의 대응
Ⅴ. 평택지방 3·1운동의 주동인물
Ⅵ. 평택지방 3·1운동이 다른 지역과 다른 점
Ⅶ. 맺음말
평택지역 3·1운동의 재검토와 전개 양상 / 성주현
Ⅰ. 머리말
Ⅱ. 3·1운동 기록에 대한 검토
Ⅲ. 3·1운동의 전개 양상
이번 민세 학술연구 총서 4권은 “평택지역의 항일운동 인물과 활동”에 대한 심층 연구를 주제로 기획했다. 여기에 발표된 논문들은 2008년부터 매년 보훈의 달에 민세안재홍기념사업회와 평택문화원부설 향토사연구소가 공동으로 국가보훈처와 평택시 등 관련 기관단체들의 도움을 받아 추진한 “평택 항일운동 학술대회”의 결과물이다.
논문구성은 크게 평택출신의 대표적인 민족운동가 안재홍, 원심창, 이병헌 등 항일운동 인물에 대한 조명과 일제강점기 평택지역 3·1운동과 사회운동에 대한 분석으로 나눴다. 이번 4권은 일제강점기 평택지역 항일운동과 관련하여 최초의 논문집이라는 의의도 갖는다.
김인식은 “안재홍의 기미운동과 임정법통성의 역사인식”에서 민세가 3·1 민족운동 → 대한민국임시정부 → 대한민국 정부수립으로 이어지는 계기성과 법통성을 중시했다고 분석했다. 윤대식은 “안재홍, 그 제애 없는 정전의 삶”에서 민세는 일제 강점하 조선인의 정치적 삶의 회복이 중요함을 인식하고 이를 각성시키고 실현하는 것을 자신의 의무로 알고 치열하게 실천했다고 평가했다. 김명섭은 “원심창의 항일의열투쟁과 육삼정의거”에서 일본 유학을 통해 아나키즘을 수용한 원심창은 적극적인 항일운동의 실천을 위해 1933년 3월 17일 상해육삼정의거를 주도하다 무기징역을 받고 1945년까지 13년간 옥고를 치렀다고 분석했다. 성주현은 “일제강점기 이병헌의 생애와 민족운동”에서 일제강점기 이병헌은 평택과 수원에서 동학 및 천도교인으로 다양한 민족운동에 참여했으며 철저한 종교인으로서의 삶을 살았다고 평가했다.
박철하는 “평택지역 3·1운동의 역사적 배경”에서 평택지역 3·1 독립만세운동의 기존 연구성과를 정리하고 1905년 평택역과 서정리역의 개통과 근대상권 형성, 평택지역 일제당시 지배행정구조와 천도교 세력, 근대교육의 상황 등 사회경제적·역사적 배경을 새롭게 분석했다. 김방은 “평택지방의 3·1 독립만세운동”에서 평택지역 3·1운동의 지역적인 구체적 전개상황을 밝히고, 인근 지역과의 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