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리산권 동학농민혁명의 실상과 동아시아적 의미 | 박맹수
Ⅰ. 서언
Ⅱ. ‘동학’ 성립의 땅, 지리산
Ⅲ. ‘지리산 선비’ 梅泉 黃玹과 東學
Ⅳ. 일본군의 農民軍 虐殺과 지리산
Ⅴ. 결언: 동학농민혁명이 지닌 동아시아적 의미
* 지리산권 동남부지역 동학농민혁명의 전개와 특징 | 김양식
Ⅰ. 머리말
Ⅱ. 1894년 9월 이전 동학농민혁명의 전개
Ⅲ. 1894년 9월 이후 동학농민혁명의 전개
Ⅳ. 동학농민군의 조직과 참여층
Ⅴ. 맺음말
* 남원지역 동학농민혁명과 士族의 대응 | 김봉곤
Ⅰ. 머리말
Ⅱ. 남원지역 동학의 확산과 사족의 동학배척
Ⅲ. 동학농민혁명에서의 남원지역의 역할
Ⅳ. 동학농민혁명기 남원지역 사족의 대응
Ⅴ. 맺음말
* 지리산권 동학농민혁명의 상징성 연구-송기숙의 <녹두장군>을 중심으로 | 조은숙
Ⅰ. 서론
Ⅱ. 동학사상의 시원
Ⅲ. 도피와 저항운동의 중심지
Ⅳ. 절의와 주체 자각의 공간
Ⅴ. 결론
* 지리산권의 서부지역 동학 포교와 조직화 과정 | 성주현
Ⅰ. 머리말
Ⅱ. 지리산권의 동학 포교와 조직화
Ⅲ. 동학농민혁명 전후 지리산권 동학의 동향
Ⅳ. 맺음말
* 지리산권 남원지역의 동학과 동학농민혁명-‘이상적인 삶’을 위한 토대와 실천 | 문동규
Ⅰ. 시작하는 말
Ⅱ. 남원과 동학, 그리고 동학경전
Ⅲ. 남원지역의 동학농민혁명
Ⅳ. 맺는 말
* 동학농민전쟁에 대한 한일 학계의 연구동향-홋카이도대학의 동학농민군 지도자 두개골 발견 이후 연구를 중심으로 | 강효숙
Ⅰ. 들어가는 글
Ⅱ. 일본학계의 연구 동향
Ⅲ. 한국학계의 연구 동향
Ⅳ. 향후 연구 과제
Ⅴ. 나가는 글
그동안 상대적으로 연구가 안 된 지리산권 동학농민운동을 집중적으로 살펴봄으로써 동학농민혁명의 연구기반을 넓히려는 데 이 책 출판의 의의가 있다. 지리산권과 전남동부지역은 김개남 장군과 김인배 장군 등이 활동했던 지역으로서 전체 동학농민운동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영호대접주 김인배 장군은 순천에 영호대도소를 설치하여 순천, 광양, 여수, 하동, 사천, 진주 등 영호남을 아우르면서 큰 성과를 올리기도 했다. 10만 농민군을 동원하여 진주성을 점령하고, 여수 좌수영을 세 차례에 걸쳐 공격하고, 일본군과 직접 전투를 치루기도 하였다. 순천출신인 영호 수접주 유하덕, 영호도접주 정우형, 성찰 권병택 등이 김인배 장군을 도와 영도대도소에서 큰 역할을 했던 것은 우리 지역이 자랑할 만한 일이다.
이번 학술서 출판을 통해 순천을 비롯한 지리산권 남부지역 동학농민운동에 대한 몇 가지 시사점을 얻을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첫째, 전남동부지역과 경남서부지역을 포함하는 지리산권 남부지역 연구심화는 전북중심으로 진행된 기존 동학농민운동 연구의 지평을 넓히는 데 큰 기여를 할 수 있다. 둘째, 김인배 장군을 중심으로 한 지리산권 남부 동학농민운동군은 진주성을 점령하고 부산 쪽으로 나아가려 했다고 추정된다. 이 부분에 대한 연구가 더 진척되면 동학농민운동군이 서울 쪽으로만 진격하려고 했던 기존 설과 다른 동학농민운동 전체구도에 대한 새로운 해석이 가능할 수 있다. 셋째, 지리산권 남부지역 동학농민운동의 중심지인 영호대도소가 설치되었던 순천지역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교육확산이 필요하다. 이는 우리 지역 시민과 청소년들의 지역에 대한 역사적 자부심을 키우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머리말 中
[저자소개]
* 박맹수(朴孟洙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과 일본 홋카이도대학 대학원에서 각각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원광대학교 원불교학과 교수, 한살림 모심과살림연구소 이사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저역서로는 <